14.01.12
갑오년 새해가 시작된 지 벌써 열흘이 훌쩍 지나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해를 맞아 굳은 결심이나 구체적 목표 등을 설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낡은 것들을 정리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새해의 문을 활짝 연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 역시 적어도 한 두가지 정도는 새로운 결심이나 이루고 싶은 목표 따위를
세워 놓고 이를 위한 삶의 방향 등을 하나하나 정립해 놓았을 것이다.
어디 개인들 뿐이겠는가! 회사, 단체, 정당, 정부 등은 이 보다 더 치밀하고 명확한 계획 아래
구체적이며 조직적인 플랜을 가동시킨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박근혜 정부가 설정한 올 한해의 국정목표는 '비정상의 정상화'란 표현으로 압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다시 한번 강조했던 '비정상화의 정상화'란 우리사회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잘못된 관행들을 바로 잡겠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표현은 그 동안 8·15 경축사를 비롯 국무회의와 비서관 회의 등을 통해 박 대통령이 여러차례에 걸쳐
언급한 바 있다. 그만큼 우리사회에 깊숙히 뿌리박혀 있는 비정상적 관행들에 대한 박 대통령의 정상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비정상과 정상을 구분하는 사회적 통념에 대한 논란은 일단 접어두고)
박 대통령이 우리 사회에 만연된 비정상적인 관행들을 바로 잡고 이를 정상화시키겠다는 데에
이의를 제기하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박 대통령의 의지대로 정치, 경제, 사회의 비정상적인 관행들이 치유되고 개선될 수만 있다면
당연히 쌍수를 들고 환영할 일이다.
그런데 문제는 박 대통령이 규정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비정상적인 것들'에 대한 기준이 지극히
편향적이며 가치중립적이지 못하다는 데에 있다.
가치중립은 한 개인이 복합적인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합리적 인식 태도를 말한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강조하는 '비정상의 정상화'가 사회구성원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그 개념 속에 가치중립이 자리잡고 있는가를 먼저 살펴 보아야 한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공신’ 30명이 본 박근혜정부 1년 (0) | 2018.09.16 |
---|---|
박정희 ‘유신 개발독재’와 박근혜의 ‘민영화’ (0) | 2018.09.16 |
새해에 박근혜가 전쟁을 일으키나 봅니다.(퍼뜨려주셈) (0) | 2018.09.16 |
박근혜 정권, ‘부패지수’ OECD 34개국 중 27위 (0) | 2018.09.16 |
방송장악 ‘마무리 투수’로 나선 방통위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