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또 허탕”…외국인 노동자에 밀린 새벽 인력시장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032301015&code=620109


“또 허탕”…외국인 노동자에 밀린 새벽 인력시장



성남시 모란시장 입구 ‘건설 일용직 시장’ 가보니




지난 2일 경기 성남시 태평동 새벽 인력시장에서 외국인 일용직 노동자들이 삼삼오오 모여 일감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 2일 경기 성남시 태평동 새벽 인력시장에서

 외국인 일용직 노동자들이 삼삼오오 모여 일감을 기다리고 있다.


“오늘도 허탕이네요. 외국인들에게 일감을 뺏긴 지 오래됐습니다.”


지난 2일 새벽 4시쯤 경기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모란시장 입구.

수도권 최대의 건설 일용직 인력 시장이 열리는 곳이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이른 시각에 남루한 차림에

가방을 짊어진 30~40대 남성들이 하나둘씩 모여들기 시작했다.


30여분 지나자 100여명으로 늘어났다.


이들 대부분은 국내 노동자가 아니다.

 10명 중 7명이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적 외국인이다.

이들은 삼삼오오 모여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모란시장 입구에 길게 늘어선 승합차 안에서는

일자리를 얻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어디론가 떠날 채비를 하고 있었다.

이날 일감을 얻은 사람은 절반 정도인데, 대부분 외국인이다.


40년간 철근 일로 잔뼈가 굵었다는 김모씨(60)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싹쓸이’하는 바람에 굶어 죽게 생겼다”며 혀를 내둘렀다.

 김씨는 “요즘 들어 1주일에 한, 두건 하기도 힘들다”며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그저 ‘간택’을 기다리지만 허탕치고

 빈손으로 집에 가는 날이 허다하다”고 말했다.


저임금과 불완전 고용으로 대표되는 건설현장 일용직 노동자들의 수급 구조가

더 값싼 노동력을 구하려는 건설업체와

일부 외국인 불법 파견업체 때문에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이 바뀌면서 건설 경기가 활기를 띠는 데도 불구하고

외국인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인력시장이 운영되면서

일용직 노동자들은 일거리가 없어 허탕치기 일쑤다. 

               

이런 현상은 건설업체가 값싼 임금의 외국인 노동자를 선호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외국인 노동자는 30~40대로, 주로 젊은층이다.

 ‘잡부’의 경우 하루 일당이 9만~10만원이다.


평균 연령이 60대로, 고령인 내국인 노동자(12만~15만원)와 비교할 때 3만~5만원 싸다.


불법 소개업자들의 소행 탓이라는 주장도 있다.

 불법 소개업을 겸한 인부팀장, 소위 ‘십장’이

 외국인만 골라 취업시킨 뒤 높은 중개 수수료를 챙기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ㄱ인력사무소 대표 전모씨(54)는

 “외국인 인부들만 골라 소개하고 수수료를 챙기는 업자까지 등장하면서

인력시장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건설회사도 불법인 줄 알지만 적은 돈으로 이들을 쓸 수 있기 때문에 모른 척한다”고 말했다.


 인력시장이 파장할 때인 오전 6시30분쯤 수진동 수진리 고개 인근에 있는

 ‘성남 일용근로자 쉼터’.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이곳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여기저기서 한탄과 푸념 소리가 터져 나왔다.

 인근 국밥집에서 해장술에 쓰린 속을 달래던 박모씨(63)는

 “오늘도 2시간을 넘게 기다렸지만 일할 기회는 오지 않았다”며

 “외국인 노동자의 일당 덤핑에 경기 불황까지 겹쳐 정말 살기 힘들다”고 말한 뒤

 집으로 무거운 발걸음을 돌렸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032301015&code=620109#csidx247172f50ebcb48a21360e3f21f8986




  • 철새| 작성시간12:38 New경제 측정을 어느누가 뉴스에 나오는말로 혹은 개인적 사정으로 측정하나요?

    그리고 증권시장이라고함은 주식을 말하는것이겠지요?
    주식시장은 금융시장 전체를 100으로 보면 10정도밖에 안되는 시장입니다

    채권시장이 90이고요


    주식은 립서비스 한마디로 왓다갓다하는 핫머니라고 하고

     채권은 그 반대인 스마트머니라고 합니다


    그만큼 경제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데

    무슨 주식이 오르면 차가 잘팔린다는 말을 하나요?

     주식이 오르는게 그 기업들이 경영을 잘해서?

    매출이 좋아서?

    이런거 같으세요..? 전혀 아니랍니다...

    이거에 대해서 기사님이 얘기 안해주시던가요? 

    트럼프가 미국으로 자국기업들 들어오라고 감세도 해준다고 꼬시고 있긴하죠

    근데 들어오고있나요?

    인건비와 경제적문제로 감세를 해줘도 못들어온다고 뻐팅기고 있고

     일자리에 관한 문제에서도 실업률기준을 마음대로 하여 낮추고있습니다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2:41 New같으세요..? 전혀 아니랍니다... 이거에 대해서 기사님이 얘기 안해주시던가요? 

    트럼프가 미국으로 자국기업들 들어오라고 감세도 해준다고 꼬시고 있긴하죠
    근데 들어오고있나요? 인건비와 경제적문제로 감세를 해줘도 못들어온다고 뻐팅기고 있고 일자리에 관한 문제에서도 실업률기준을 마음대로 하여 낮추고있습니다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2:50 New철새 마지막문단에 기득권 경제횡포를 잘라야한다고 하셧는데요
    그럼 지금의 신용을 기반으로한 금융시스템이 없어져야합니다 그러면 진짜 대격변이 눈에 보이게 생겨야합니다 지금처럼 뒤에서 아무도 모르게 뭘 하는게 아니라요..
    그리고 한국은 전혀 그런낌새가 보이지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세금으로 공무원 일자리만 늘리고 있죠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gm사건, ge의 bbb등급 신용하락, 시어스파산 온통 빨간불과 더 위험한일이 생길꺼같은 징조가 보이는데.. 경제가 좋아지고잇다 좋다는말은 선뜻 믿기 어렵네요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2:51 New철새 글로벌경제둔화는 시작되엇고 곧 경기침체와 2008년 금융위기보더 더 큰 글로벌 리세션이 생길텐데요
    글로벌리스트의 청산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기사님이라고 하시는분이 이것도 모를리 없을텐데이거에 대해서는 어떤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지요?
  • 답댓글작성자혜공| 작성시간17:04 New철새 키미님 말씀도 맞고 님 말씀도 맞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진짜 경기가 어려웠고 트럼프의 친기업 정책으로인해
    경제가 그전보다는 월등히 좋아진것입니다

    반면에 국제경기는 지금 온갓 악재로인해 침체되는 중이죠
    당장 우리나라만해도 기업들 자영업자들 힘듭니다
    그러니까 보는 시각이 서로 달라서 그런거에요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7:25 New혜공 그 경제가 트럼프로 인한것인지 아님 양적완화로 인한 엄청난 유동성으로 명목상으로만 성장한것인지 구분해 보시면 미국경제가 진짜 좋은지 안좋은지 알수있습니다
    16년부터 18년까지 미국경제가 좋다면서 연준은 금리인상을 했죠?
    그러면서 gdp성장과 실업률축소 주식시장을 상승을 이유로 미국경제는 솔리드하며 아주아주 스트롱하다라고 말했고요 진짜로 성장을 하고 경제가 좋아지는거면 고작 2.5프로 금리를 올렸는데 왜 기업들이 하나씩 하나씩 쓰러져가나요?
     경제가 좋으면 금리 더 올려도 되는데 왜 동결이 나오고 인하얘기가 나오며 양적완화얘기가 벌써부터 들릴까요?
    저는 우리나라만 얘기하는게 아닙니다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7:29 New철새 트럼프본인도 아주 잘알것입니다 자신의 정책이 좋아서 경제가 좋아보이는게 아니라 수년간의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로인해서 좋아보이는것뿐이라는걸 그래서 작년 gm사태에서 트럼프가 연준에게 금리 올리지말라고 그렇게 압박을 했죠
    gm사태의 책임은 연준에게 있다며
  • 답댓글작성자혜공| 작성시간17:36 New철새 님 금리 올리면 경쟁력 떨어지죠
    안그래도 세금에 쳐죽고 고인건비에 쳐맞고 물가까지 비싸봐요
    안무너질 기업이 있는지
    지금 트럼프 그 반대로 잘 하잖아요


    그러니까 기업들이 좋아하는거에요
    기업들이 좋아하면 가장들 일자리가 많아지고 
    서민들 살림살이가 낳아지죠?

    중국에서 왜 기업들이 탈출하고 인도로 몰려가겠어요?
    세계 경제가 침체인건 맞지만 이럴때 정치잘해서 도리어 
    경제가 잘돌아가는곳도 있는거에요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7:38 New혜공 금리에 대해서 공부한번 해보세요 당연히 금리를 올리면 경쟁력이 떨어진다뇨.. 금리를 올려도 경제가 괜찮으면 그게 건강한성장이고 금리를 올리면 와르르 무너지고 경쟁력이 떨어지는건 부채로 경제가 성장하게 보이게하는 속임수입니다
    몇십년전에는 금리가 두자리수였죠 몇번의 위기로 계속 우하향하다가 지금은 제로금리에서 겨우 2.5프로 올린거고요
    건강하게 성장을 했고 경제가 실제 체감될정도로 좋으면 금리를 올려도 경쟁력약화가 되지 않습니다 금리사이클을 보시면 제말을 이해하실겁니다 그게 금융엘리트들의 속셈이기도하고요
  • 답댓글작성자혜공| 작성시간18:03 New철새 하하 님은 너무 많은 생각을 하시는거에요
    그냥 기존에 있는 관념을 접고 간단하게 생각해요
    정주영처럼 야! 배 끌어다 막아!
    저는 그게 지금 트럼프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연준을 지목하는것은 연준을 제압하기위해 
    여론을 그쪽으로 모는 고도의 언플입니다
    트럼프는 말 한마디 한마디가 다 전략 전술입니다
    가만히 보고있으면 재밑어요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8:00 New혜공 많은 생각을 한다라... 제가 말하는것은 있는 그대로 확인된것만으로 말하는겁니다
    기존의 관념대로 생각을 하는거면 이렇게 생각하지도 않죠 ^^ 아 그냥 기업들이 아니면 정책을 짜는 윗분들이 못하는거구나 생각하는게 기존의 관념이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관념이죠
    기득권놈들이 만들어논 이 경제시스템이 망가지지않는한 트럼프든 그 어느누가 되엇던 세상은 바뀌지않을겁니다
     참 이상하네요 다른것들은 다 기득권 욕을하면서 경제는 간단하게 생각하라니요.. 지금 혜공님이 생각하는 그방식으로 2008년 금융위기를 넘겨서 더 큰 위기가 오려고 합니다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8:00 New철새 저도 간단히 관점의 차이라 생각하고 그만하겠습니다 ^^ 우리 모두 좋은세상이 오길 바라는 마음만 같으면 된거같네요
  • 답댓글작성자혜공| 작성시간18:08 New철새 그건 저도 동의 하는데요
    경제 씨스템 자체를 바까야하고 
    또한가지 종교개혁. 의료개혁이 있어야합니다
  • 답댓글작성자철새| 작성시간18:12 New혜공 윗 댓글의 수정이 있어서 한마디만 더 달께요 트럼프가 연준을 지목한건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주체가 연준이라서 그런거죠
    제압을 목표로 했다면 언론플레이만 하진 않을겁니다 뭐 지금 이면에서는 트럼프가 연준을 제압 했다는 소리도 있지만 돌아가는 모양새 보자면 아닌거 같고요
    역대 미국 대통령중에 암살시도나 암살을 당한분들은 그걸 하다가 그렇게 되신거니 아무튼 경제가 좋아졌다 좋아지고 있다는말에 동의는 못하지만 지켜봐야죠
    즐거운저녁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