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윤여준 "文대통령, 조국이 어떤 과오 범해야 책임 물을 건가"...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67812

윤여준 "文대통령, 조국이 어떤 과오 범해야 책임 물을 건가"

"제대로 책임 묻지 않으니 공직기강 흐트러져"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1일 "아니, 그 자리에서 책임을 다 못했으면
그 자리에서 물러나는 게 가장 정확한 책임지는 거 아닌가"라며
조국 민정수석에게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윤 전 장관은 이날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본인 스스로 '책임지고 물러나겠습니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통령이 문책, 책임을 물어야 된다.
그런데 대통령이 안 묻는다는 것은 대통령도 생각이 같다는 뜻이라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잖나.
그러면 대통령은 어떤 과오를 범해야 책임을 물을 것인가"라며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이 정부 들어서서 보라.
여러 가지 그런 크고 작은 실수가 있었는데 제대로 문책, 책임을 물은 일이 거의 없다"며
 "그러면 무슨 일이 벌어지느냐?
공직사회 기강이 말도 못하게 흐트러진다"고 힐난했다.

그는 잇딴 인사참사 원인에 대해선
"이 정부 들어서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기는 어떻게 알고 있느냐면 '인사의 폭이 아주 좁다',
사람을 널리 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그러니까 이걸 상스럽게 표현하면 '패거리 인사를 한다'는 거잖나"라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나하고 가까운 사람이냐, 나하고 생각이 같은 사람이냐,
 이게 중요한 게 아니고 그 자리에 얼마나 적합한 사람이냐?
그 원칙이 공적인 기준이 되어야 되는 것"이라며
 "그런데 그 원칙을 쓰지 않으니까
이런 사람들이 계속 나오는 것 아니냐하는 생각을 국민이 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론적으로 "이런 진보 정부가 들어서서 그것도 촛불정부예요,
 보통 진보 정부도 아니고"라며 "촛불정부가 들어서서 인사할 때마다
 도덕적인 문제로 말썽이 생기는 걸 보면서
그러면 도덕적 우월성이라는 게 인정을 받을 수 없는 거잖나
. 이게 국가적인 비극"이라고 개탄했다.

이에 진행자가 '윤 전 장관님이 오랜만에 화가 난 것 같다'고 말하자,
 윤 전 장관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화가 나서 그런 거에요"라고 답했다.

정진형 기자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67836

靑 "조국-조현옥 인사검증에 문제없다"

"언론도 민정-인사가 뭘 잘못했는지 지적하지 않잖나"

       
청와대는 1일 조국 민정수석, 조현옥 인사수석 등
인사검증라인에 대해 "특별한 문제가 파악된 것은 없다"며 밝혔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문제가 없으니 특별한 조치도 없다"며
야당들의 요구에도 경질할 생각이 없음을 거듭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시스템 상으로 저희가 걸러낼 만큼 다 걸러냈다"며
 "실수가 있어서 흠결을 잡아내지 못했다고 판단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며
조국-조현옥 수석을 적극 감쌌다.

그는 나아가 "특별히 언론이나 다른 쪽에서 민정이 뭘 잘못했고,
 인사가 뭘 잘못했는지 지적이 없는 걸로 판단하고 있다"며
마치 언론들도 인사검증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처럼 몰아갔다.

그는 조국 수석과 조현옥 수석의 사의 표명 여부에 대해서도
 "그런 것은 들은 적이 없다"며 두 수석이 사의를 표명하지 않았음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최정호, 조동호 후보자도 그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갖춘 분들"이라며
 "그 부분을 우선시할 것인가,
국민 정서에 기준을 맞출 것인가 고민이 되는 것"이라고 강변했다.

그는 그러면서 "조동호 후보자의 경우 언론보도를 보면 언론에 자극적으로 보도된 부분도 있다.
 후보자의 아들이 포르쉐를 갖고 있었다고 하는데 가격이 3500만원이 채 안된다
. 벤츠도 3000만원이 안된다.
외국에 있으니 당연히 외제차를 탔다.
미국에서 벤츠와 포르쉐를 타는 게 문제가 되겠나"라며 언론에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새 인사검증 기준에 대해선 "최정호 후보자가 주택을 3채 보유했다고 해서 그 분은 장관을 하면 안된다,
그런 식의 검증 기준을 새로 설정하는 것 보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국민 정서에서 이탈한 부분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며
 "그 부분에 대해선 아직 착수하지는 못했다"고 말을 아꼈다.
최병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