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mt.co.kr/hotview.php?no=2019051511080495679&type=1&sec=all&hid=201905151435425838&hcnt=7&vgb=hot&MTPKA_T
삼성의 400조와 카카오의 10조…건재 확인한 정몽구
머니투데이
- 세종=정현수 기자
- 2019.05.15 15:00
[대기업집단]공정위의 발표를 읽은 키워드…삼성·카카오·정몽구
공정거래위원회가 15일 발표한 공시대상 기업집단은 관전포인트가 꽤 있다. 삼성전자는 대기업 최초로 자산총액 400조원을 넘겼다. 벤처회사로 시작한 카카오는 명실상부한 대기업의 지위를 얻었다. 건강이상설이 돌았던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건재를 확인했다. 정몽구 회장보다 40세 적은 젊은 총수의 등장도 두드러진다. ◇삼성전자의 400조 = 삼성그룹의 올해 자산총액은 지난해보다 15조원 늘어난 414조5000억원이다. 개별 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이 400조원을 넘긴 건 처음이다. 재계순위 2위인 현대차그룹(223조5000억원)의 약 2배다. 공정위가 지정한 59개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은 2039조7000억원이다. 삼성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3%다. 각 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이 전년보다 평균 1조8000억원씩 증가한 걸 감안하면 삼성전자의 덩치는 상대적으로 더 커졌다. 재계순위 상위권 기업집단의 순위변화는 크지 않다. 지난해 8위였던 한화그룹은 7위로 올라섰다. GS그룹은 한화그룹과 순위를 맞바꿨다. 지난해 46위였던 현대산업개발(HDC)은 올해 33위로 순위가 크게 올랐다. ◇카카오의 10조 = 공정위는 자산 10조원 이상인 그룹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한다. 대기업의 상징이다. 자산 5조원 이상인 공시대상 기업집단 중 34곳만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분류된다. 카카오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렸다. 자산총액은 2조1000억원 늘어난 10조6000억원이다. 정보기술(IT) 업체로는 처음 자산 10조원을 넘었다. 네이버(45위), 넥슨(47위), 넷마블(57위) 등 다른 IT 업체의 선전도 이어졌다. 네이버는 이해진 창업자가 총수 지위를 유지했다. 네이버는 2017년 대기업집단에 지정된 이후 줄곧 총수 변경을 요구했다. 하지만 올해는 '총수 변경 신청서'를 내지 않았다. 논쟁을 이어가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직권남용 무죄판결 스모킹건은 '친형 육성녹음파일' (0) | 2019.05.17 |
---|---|
2013년 2월, 박근혜 대통령 취임사 작성 회의..박근혜 '침묵' 최순실 '지시' 정호성 '받아쓰기' (0) | 2019.05.17 |
“서울광장에서 퀴어축제 개최는 부적절” 80.5% (0) | 2019.05.16 |
줄지 않는 ‘우리 곁의 김용균들’ 작년에도 하루 3명 산재사망 (0) | 2019.05.14 |
[단독] 트럼프, 한국 겨냥해 "美 좋아하지 않는 나라" (0) | 2019.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