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9071706478090362&outlink=1
이재명 “빈익빈·부익부, '불로소득 조장' 공시가격 개선해야”
- 경기=김동우 기자
- : 2019.07.17
이재명지사. /사진제공=경기도 |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경기도 부동산정책위원회와 7개월간의 정책과제 협의를 통해
경기도의 공시가격제도 개선안은 모두 4가지로
경기도 공시가격 제도 개선안. /자료=경기도 |
정부가 공시가격을 발표하면 각 기초자치단체는 이를 토대로
문제는 이런 공시가격이 부동산 유형과 가격에 따라 시세반영률이 달라
이런 현상은 부동산 가격 구간별로도 나타나는데
18년 거래된 취득세 신고자료와 공시가격 비교. /자료=경기도 |
경기도는 국토교통부가 표준지·주택을 선정해 공시가격을 정하고 있지만
기간과 인원 부족으로 정밀한 조사와 평가에 한계가 있어
거래금액 전 구간별 큰 편차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역실정에 밝고 현장 접근성이 뛰어난 시도지사에
표준지·표준주택 조사·평가 권한을 위임하고,
국토교통부는 이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한다면
공정한 공시가격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두번째는 비주거 부동산 공시제도의 조속 시행은 과세의 불공정을 바로잡는 조치라는 설명이다.
현행 제도는 토지와 주택의 경우 공시된 가격으로 세금을 부과하지만
상가나 업무용 대형 빌딩 등 주거목적 이외의 부동산은 공시가격이 없다.
때문에 각 지자체와 국세청이 산정하는 ‘시가표준액’과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데
이런 산정방식이 실제거래가격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동일한 건물이라도 1층과 2층 등
층별로 실거래가가 다른데도 동일한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것도 문제다.
경기도 분석결과에 따르면,
A시 소재 B상가의 경우
분양가는 1층이 ㎡당 864만원으로 가장 높지만
분양가 대비 시가표준액은 16%에 불과했다.
반면 지하 1층의 분양가는 ㎡당 79만원으로
분양가 대비 시가표준액이 136%에 달했다.
문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2016년 비주거용 부동산도 공시가격을 발표하도록 법을 개정했지만
현실적 어려움으로 아직도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김기세 경기도 자치행정국장은 “비주거용 부동산 소유자는
일반 주택이나 토지소유자에 비해 고소득자지만
공시가격이 없어 세금 부담 비율이 낮은 편”이라며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마련한 제도인 만큼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번째는 주택가격 공시비율 80% 폐지다.
공시비율은 평가금액에 일정비율을 곱하는 것을 말하는데
현행 주택에는 공시비율 80%를 적용하고
토지는 산정가격을 그대로 공시한다.
문제는 이럴 경우 토지와 건물을 합친 개념인 주택이
오히려 토지보다 공시가격이 싼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
실제로 경기도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C시 소재 D주택의 경우
2019년 주택공시가격은 7억원인 반면 토지 공시가격은 8억원이었다.
건물과 토지를 합친 주택공시가격이
토지 공시가격보다 1억원이 낮은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경기도는 공시비율을 폐지하면 이러한 문제는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는 도내 고가 비주거용 부동산 등에 대해 전문기관에 가격 조사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고가 부동산 거래가 거의 없고
특히 비주거부동산의 경우 평가 작업이 힘들어 실거래가 파악이 어렵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용역을 통해 비주거 부동산 가격의 투명성과 형평성을 확보한다면
공평과세의 기반을 다지고 도민의 신뢰도 회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기세 국장은 “공시가격 제도개선은
이재명 지사가 추진하는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도입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면서
“경기도는 국토보유세를 통해 부동산 불로소득을 환수,
기본소득의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인데
이를 위해서는 과세기준인 공시가격제도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재명 '빈익빈 부익부' 정부에 개선 건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수출 규제를 바라보는 증권가 반응은 ‘낙관’과 ‘차분’ (0) | 2019.07.22 |
---|---|
일본반도체수출규제 실제기업담당자분들과 상담 국산화 및 소재다변화 가능!! ..팩트체크 (0) | 2019.07.20 |
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금 가장 시급한 것! -허경영- (0) | 2019.07.18 |
5월 일본계은행 국내대출 24.7조.."日 금융보복 대비해야"(종합) (0) | 2019.07.16 |
[단독] "러시아, 일 규제 불화수소 한국에 공급 제안" (0) | 2019.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