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조국 발목 잡는 '과거의 조국'..2030이 분노하는 이유


https://news.v.daum.net/v/20190826202716117

조국 발목 잡는 '과거의 조국'..2030이 분노하는 이유

정경윤 기자


2019.08.26. 21:47        


 

https://tv.kakao.com/v/401548333


<앵커>

"어느 집안에서 태어났는가가 삶을 결정해 버리는 사회, 끔찍하지 않습니까"

지난 2010년 조국 후보자가 자신이 썼던 책에서 했던 말입니다.


조 후보자는 그동안 책과 SNS를 통해 이런 공정함을 주제로 젊은 층과 소통하고 공감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의혹과 그 해명들은

지금까지 조국 후보자가 말해왔던 신념과 모순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그래서 방금 보신 대학생들처럼 젊은 층의 반발이 더 거세다는 분석입니다.


정경윤 기자입니다.


<기자>


조국 후보자가 2012년 자신의 SNS에 쓴 이 글들은 1천 회 가까이 공유될 정도로 공감을 받았습니다.

모두가 용이 될 수는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오히려 예쁘고 따뜻한 개천을 만들자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조국 후보자의 딸 조 모 씨의 입시 과정에서 드러난 논란은

 '공정한 사회를 만들자'는 말을 무색게 했습니다.


단국대 논문 1저자 등재, 공주대 포스터 발표자 논란 등 조 씨 스스로가 아닌

 부모 인맥을 통한 경력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그는 공정함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고 불법이 아니지 않느냐고 대응했습니다.


[조국/법무부장관 후보자 (21일) :

(특혜란 부분은 인정하십니까?)

법적으로 하자가 없다는 점은 이미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 있고요.]

청년들은 촛불을 들었습니다.


[김다민/대학생 (촛불집회 참가자) :


그토록 정의와 공정을 부르짖던 공직자가

 자식 교육 앞에선 결국 이 정도밖에 안 되는가….

 공직 후보자 자리에서 책임 있는 모습으로 내려오시길 바랍니다.]


조국 후보자는 장학금 지급 기준을 경제 상황에 맞춰야 한다는 글을 올린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대는 조 씨가 신청도 하지 않은 장학금을 줬고

부산대 의전원도 낙제를 한 조 씨를 응원한다며 3년 내내 장학금을 줬습니다.


장학금 지급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조국 후보자나

절차상 문제없다는 해명을 내놓은 학교의 모습에서

 우리 사회 기득권층의 실태와 구조적 불평등은 또 한 번 드러났습니다.


[조준현/변호사 (촛불집회 참가자) :

'본인이 비판했던 기성세대와 똑같을 수 있을까'라는 실망감과 배신감이 컸습니다.

 '이런 모습 보려고 그 추운 겨울,

몇 달 동안 촛불집회에 참석했나' 하는 참담함에 눈물도 흘렀습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는

조 후보자의 법무부 장관 임명에 반대 의견이 전체 60.2%였는데

특히 20대에서는 68.6%가 반대 의사를 밝혀

전 연령대 가운데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김종우, CG : 박정권·최지원)

  

정경윤 기자rousily@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