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토부 산하기관, '단기 알바' 1만2천명...대부분 단순업무





국토부 산하기관, '단기 알바' 1만2천명...대부분 단순업무

민경욱 "LH의 조사원 평균근무 2.5일. 업무쪼개기로 일자리 2천100개 불려"


       
정부의 단기일자리 확대 지침에 따라 국토교통부 산하기관들이 채용했거나
앞으로 남은 2개월동안 채용할 단기일자리는 총 1만2천여명이고,
이에 소요될 예산이 약 38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부 산하 공기업와 공공기관을 전수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도로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23개 기관이 이달부터 12월까지 채용했거나
 채용할 단기일자리는 1만497명이며, 체험형 인턴은 2천3명 등 총 1만2천500명이었다.

이들에 지급될 수당으로는 단기일자리에는 326억7천100만원,
체험형 인턴에는 52억3천0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단기일자리가 맡게될 업무는 대부분 제설작업, 도로청소, 풀뽑기, 고객 안내, 홍보물 배포 등 단순 업무였다.

한국도로공사의 경우 동절기 고속도로 제설작업에 970명,
 고속도로 특별 환경 정비사업에 971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LH는 입주·하자 서비스 조사원 2천100명을 3개월 동안 쓰겠다고 기재부에 제출했지만
 이들의 평균 근무 기간은 2.5일에 불과했다.
한 명이 해도 될 일을 여러 명이 나눠하도록 해서 일자리를 2천100개까지 불린 것.
 이들이 받는 총 수당은 일당 7만원씩 계산해서 1인당 17만5천원이었다.

한국철도공사도 짐 들어주기 업무 등에 157명을 뽑기로 했고,
인천국제공항공사도 터미널 이용 안내 등 단순 서비스 업무에 432명을 채용하고
동절기 운항시설 관리 지원 등 운항서비스 업무에 146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민 의원은 "국토부가 일자리 수치를 늘리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단기 일자리 채용으로 낭비되는 세금이 수백억에 달하고,
 전체 공공기관이 361곳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낭비되는 세금은 수천억원에 달할 수 있다"며
 "정부와 국토부는 청년들이 가장 원하는 일자리가 공공기관이라는 것을 악용한
 가짜일자리 만들기를 중단하고, 양질의 진짜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질타했다.

정진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