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정화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법

 

 

 

세상을 창조하는 방법

상대에게 하는 것이 곧 나에게 하는 것


그러다보니까 우리는 보통 남에게 욕을 하고 시비를 걸고 하기를 좋아하는데 더 깊은 마음의 특성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실 내가 남에게 욕하는 것은 곧 뭐를 의미하냐면, 내가 나 자신을 욕하는 것과 같습니다.

 

내 근본에 있는, 내 본질에 있는 마음에서는 나와 너의 분별이 없으니까 내가 남들한테 '너 이 죽일 놈, 나쁜 놈' 하면서 욕을 하면, 우리 본질의 마음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이냐 하면 나와 남이 없으니까, 너 죽일 놈 나 죽일 놈이라고 하는 너나의 구분이 없으니까 본질의 마음에서는 뭘 인식하냐 하면 욕이라는 것만 인식하는 겁니다. 죽일 놈이라는 것만 인식하는 겁니다.

 

내가 남에게 죽일 놈 욕을 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사실은 나 자신을 죽일 놈을 만드는 창조의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남들에게 욕을 했다 했을 때, 못난 놈이라고 얘기하고 실패나 해버려라 하고 얘기 한다면 사실은 정작 내 마음은

나와 너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남에게 한 얘기지만, 남에게 한 나쁜 생각이고 나쁜 마음이지만 그것은 돌이켜 나에게 와서 화살이 꽂히는, 그래서 나의 현실을 창조해 내는 창조 작업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상대방을 욕하고, 탓하고, 시기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사실은 나 자신을 탓하고 욕하고 시기하고 있는 중인 것입니다. 그래서 그 사람은 나는 이런 부정적인 현실을 창조한 적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자신 스스로가 그 부정적인 현실을 창조한 것입니다. 우리가 ‘나는 하지 않았다’고 착각할 뿐이에요.

 

보통 사람들은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나는 절대 실패를 창조한 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얘기하거든요. 그런데 우리가 남들에게 욕하고 시비하고 실패하라고 얘기했던, 남들을 미워했던, 그 마음이 고스란히 나에게 와서 꽂히는 것입니다. 그런 방식으로 내가 나의 미래를 창조해 내고 있습니다. 나는 나의 미래를 그렇게 창조한 적이 없고 남에게만 욕을 했지 나에겐 안했다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거꾸로 입니다. 그렇지가 않습니다. 내가 남에게 행하는 것은 고스란히 내가 나에게 행하는 겁니다. 그게 바로 본질적인 더 깊은 마음의 특징이에요. 거기에는 너와 나의 차별이 없습니다.

 

앞에서 ‘더 깊은 마음’은 이 우주법계 전체의 근간을 이루는 마음이라고 했습니다. 나의 근원이자 이 우주 전체의 근원인 것입니다. 그러니 거기에 너와 나의 분별이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 근원의 자리에서는 네가 바로 나이고 내가 바로 너인 것입니다. 그러니 상대방에게 행한 것이 곧 내게 행한 것입니다. 너와 내가 둘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를테면 다른 사람에게 보시를 베푼다, 자비를 베푼다, 사랑을 베푼다, 그 사람이 힘들 때 옆에서 도움을 주고 상담을 해준다고 할 때, 사실 그것은 우리가 상대방을 돕는 것을 넘어서 내가 나 자신에게 베푸는 최고의 보시행위입니다. 내 인생을 풍요롭게 창조하고 내 인생을 행복하게 창조하고 내 인생을 부자로 창조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내가 남에게 하는 것이 고스란히 나에게 돌아오니까 이 우주의 법칙은 내가 보낸 대로 받게 되어 있습니다. 나에게서 나가는 것이 고스란히 나에게로 돌아오게 되어있어요.

 

욕이 나가면 반드시 욕이 돌아옵니다. 칭찬이 나가면 칭찬이 돌아옵니다. 마음속에서 저 사람을 어떻게든 무너뜨려야지 하고 생각한다면, 나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무너져야지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바로 그렇게 생각할 때 이 우주법계는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를 무너뜨려 줍니다. 어떤 문제 때문에 근심 걱정하고 있다면 그것 또한 내가 나 자신을 향해서 끊임없이 근심 걱정하는 내용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점을 어떻게 맞춰야 하느냐 이것이 중요합니다. 남이 잘 안되기를 바라는 것은 사실 내가 잘 안 되기를 바라는 거라고 했잖아요. 그러니까 남을 물고 늘어지면 안 됩니다. 남을 물고 늘어지면 내 바깥을 향한단 말입니다. 에너지의 방향이 자꾸 바깥을 향해 있으면 안 된단 말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성공하고 싶다, 진급하고 싶다, 부자 되고 싶다 이랬을 때, 내가 진급하고 싶다는 생각은 차라리 낫지요, 나의 경쟁자가 어떻게든 사고를 쳐가지고 좀 무너져라 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안 될 일입니다. 그것은 사실은 상대방을 무너뜨리는 게 아니라 나를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동일한 말의 에너지라도 전혀 다릅니다. 부정적인 것을 상대방에게 보낼 때는 그것이 나에게 오는 것이구나 하는 것을 알아야 돼요.

 

그래서 상대방에게 보내는 연습을 하지 말고, 나를 향하는 연습을 해야 됩니다. 상대방을 향한 연습을 하게 되면 끊임없이 우리 마음은 부정적인 에너지를 쏟아 붓게 됩니다.

 

그런데 나를 향하게 마음을 쓰게 되면 항상 긍정적이 돼요. 내가 나 자신에게 욕하는 사람은 없거든요. 내가 나 자신이 잘못되길 바라는 사람은 없거든요. 그래서 우리 본래의 마음은 나와 너의 구분이 없습니다. 분별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남에게 하는 것이 고스란히 내가 나에게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라는 이 사실을 우리가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본래적인 마음의 더 깊은 마음의 특징을 안다면 우리의 삶이 바뀌어야 되겠죠. 상대방에게 하는 것이 고스란히 나에게 하는 것과 다르지 않으니 말입니다.

 

 

긍정적인 언어의 파장

또한 둘째로, 이것도 비슷한 얘기인데요 ‘더 깊은 마음’ ‘우주적 근원의 마음’은 완전한 무분별이기 때문에 좋다 나쁘다, 맞다 틀리다, 옳다 그르다 라는 것이 없습니다. 네 편 내편이 없어요. 또한 긍정 부정이라는 분별이나 차별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우리가 단어를 사용할 때 부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면 안 됩니다.

긍정적인 단어를 자꾸 사용할 줄 알아야 됩니다.

우주법계는 말하는 대로 그저 현실로 만들 뿐이지 긍정적인 것은 만들고 부정적인 것은 안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주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똑같은 창조에너지로 작용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말하는 것은 모두 구업(口業)으로 작용합니다. 즉 말이란 것은 에너지가 되어 특별한 파장으로 우주법계에 기록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기록된 것은 반드시 나 자신에게로 되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부정적인 에너지의 단어를 많이 사용하면 부정적인 현실이 창조되고,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면 긍정적인 현실이 창조되는 것입니다. 우주법계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가리지 않고 모두 다 분별없이 내 입에서 나간 것을 전부 나 자신에게로 되돌려 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같은 상황을 보고 부정적인 단어로 얘기할 수가 있고 긍정적인 단어로 얘기할 수 있잖아요. 긍정적인 마음의 에너지를 뿜을 수가 있고 부정적인 마음의 에너지를 뿜을 수가 있습니다.

 

‘너 자꾸 거짓말 하면 나쁜 놈 된다.’ 이렇게 자식한테 이야기하잖아요? 그러면 부정적인 단어를 자꾸 연습시키는 겁니다. 이 말에는 ‘거짓말’이라는 말과 ‘나쁜 놈’이라는 부정적인 말들이 계속 연이어 반복됩니다.

 

이 똑같은 말을 이렇게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진실 된 말을 하면 아주 착한 사람이 된단다.’ 이렇게 얘기한다면 같은 의미이지만 긍정적인 단어의 연속으로 바뀝니다. ‘거짓말’ 대신 ‘진실 된 말’로 바뀌었고, ‘나쁜 놈’ 대신 ‘착한 사람’으로 바뀌었단 말이지요. 그 에너지는 엄청난 차이입니다. 그러니까 부정적인 단어를 쓰게 되면 그것이 고스란히 자식에게 가서 탁탁 박히게 되는거에요. 이것은 어찌 보면 사소한 말의 습관이지만, 이 평범한 말의 습관이 전혀 다른 과보를 우리에게 가져옵니다.

 

사실은 요즘 젊은이들이나 어르신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모든 사람들이 신기하게도, 정말 신기하게도 자기 자신의 숨겨져 있는 엄청난 잠재의식을 현실에서 전혀 써먹지 못하고 사는 게 현실 세계입니다.

여러분에게 엄청난 능력이 있는데 그것을 써먹지 못하고 살아요. 그 이유가 뭔지 압니까?

어릴 적에 우리가 부모님한테 들어왔던 습관 때문에 그래요.

 

'하지 마' '안 돼' '나쁜 사람 돼' '무조건 하지 마' '절대 안 돼' 이런 소리를 듣고 자라오다 보니까 우리는 자동적으로 인식이 되어 있는 겁니다. 우리 세포 하나하나에까지 ‘아, 나는 안 되는구나.’ ‘이렇게 하면 안 되는구나, 나쁜 것이구나’ 이런 것들만 인식이 되는 거예요. 좋은 것이 인식되지 않고 나쁜 것들이 자꾸 인식이 됩니다.

 

이를테면 불교에서도 그렇게 방편으로 말을 쓰긴 하지만 ‘무명(無明)에서 벗어나길 원합니다’ 라는 말을 쓰기보다는 차라리 ‘지혜가 충만하게 되기를 발원합니다’하는 모습이 발원문에 쓸 때 훨씬 아름다운 긍정의 표현입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 안에서 어떤 말을 하더라도 내 안에서 내가 쓰는 생각,

많은 패턴들이 얼마나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는가 이것을 보십시오.

 

우리는 그것을 부정적인 것이라고 인식을 안 하거든요. 그러니까 이 우주 법계는 그렇다 아니다 라는 것이 없다는 겁니다. 긍정, 부정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내가 쓴 그 단어 자체가 나에게 와서 꽂히는 거예요. ‘나쁜 놈 되지 않기를 발원합니다.’ 이거는 나쁜 놈이라는 에너지를 내보내는 것입니다. ‘착한 사람 되기를 발원합니다.’ 쪽이 얼마나 더 듣기도 좋습니까

 

 


 

 

1. 타이스의 명상곡 - 마스네
2. (꿈을따라서)작품7 - 포레
3. 백조 - 생상스
 4. 현악4중주 내림마장조 작품51(슬라브)제3악장 - 드볼작
5. 자장가 내림라장조 - 쇼팽
6. 모음곡(베르가마스크)중 달빛 - 드뷔시
 7. 전주곡(바람의 요정)작품28의7 - 쇼팽
8. 현을 위한 세레나데 마장조 작품22제1악장 - 드볼작
9.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올림다단조 작품27의2(월광)
   1 Adagio Sostemuto - 베토벤
10.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올림다단조 작품27의2(월광)
    2 Allegretto - 베토벤
11.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올림다단조 작품27의2(월광)
     3 Presto Agitato - 베토벤

 

 

출처 : http://blog.daum.net/41matilda/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