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신곡 山中新曲〉의 1~6번째 수로 기록되어 전한다.
어부사시사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61B1C4A3B69EFA3)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1651년(효종 2)에 윤선도(尹善道 : 1587~1671)가 지은 연시조 이다.
지은이가 65세 때 벼슬을 그만두고
전라남도 보길도 부용동에 들어가 한적한 나날을 보내면서 지은 노래이며,
세상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과 한몸이 되어
강호한정(江湖閑情)에 빠지는 것이
주제이다.
4계절을 각 10수씩 40수로 하고 여음이 붙어 있고,
여음은 배를 띄우는 것에서부터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따라 말을 붙였다.
고려 후기의 '어부가'를 이어받아 다시 창작한 것으로,
이현보의 '어부사' 나 그밖의 어부가에 속하는 노래는
한시에 여음이 붙어 있는 것이 보통이나
이 노래는 순 우리말로 새롭게 썼다.
'오우가 五友歌' 와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며
'고산유고 孤山遺稿' 에 실려 전한다.
봄노래
동풍이 건듯부니 물결이 고이 인다
돛 달아라 돛 달아라 돛을 달아라
동호를 돌아보며 서호로 가자스라
지국총 어사와 지국총 어사와
앞뫼는 지나고 뒷뫼는 나아온다
앞뫼는 지나고 뒷뫼는 나아온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680E0D4A3B501D86)
여름노래
연잎에 밥싸두고 반찬을랑 장만 마라
닻 들어라
닻 들어라 닻 들어라
청약립은 써있노라 녹사의(綠蓑衣) 가져오느냐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어사와
무심한 백구는 내 좇는가 제 좇는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184C7F0F4A3B50747D)
가을노래
수국의 가을이 오니 고기마다 살져있다
닻 들어라
닻 들어라 닻 들어라
만경징파(萬頃澄波) 슬카지 용여하라
지국총 지국총 어야디야 어야디야
인간을 돌아보니 멀도록 더욱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C760E4A3B50E7CD)
겨울노래 간밤에 눈갠후에 경물(景物)이 달랐고야 이어라 이어라 이어라 이어라 앞에는 만경유리 뒤에는 천첩옥산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어사와
선계(仙界)인가 불계(佛界)인가 인간이 아니로다
선계인가 불계인가 인간이 아니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6CD20D4A3B51487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