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으로 외자유출시 1200억불 부족, 金融危機 도래
Dr_Bubble
그동안 줄기차게 이야기 해왔던 얘기가 한국경제연구원에서 이제서야 얘기가 나오네요..
그나마 이런 연구를 솔직하게 발표하는 분이 있어서 다행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하는데 한은이 인상을 늦추고 유예하면
금리역전이 일어나 자본 유출이 금심해진다는 것은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돈은 안전자산을 찾고 그리고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흘러가는 것은 막을 수가 없습니다...
당장 외국인뿐만 아니라,
한국 예금자들도 국내 은행에서 돈을 빼서 미국 장기 국채를 사려고 이동할 것입니다...
그리고 국내 대기업들도 미국 수출해서 벌어들인 돈을 굳이 한국으로 송금하느니
금리가 높은 미국 은행에다 예치할 것은 뻔합니다.
한은이 금리인상을 늦춘다 해도 대출금리는 미국 기준금리를 따라서 인상되는 것을 잘 보셨죠...
은행들이 해외에서 조달하는 금리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아 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출금리가 안오르면 국내에서 자금 조달해서
이렇게 환율이 좋을때 달러로 바꾸어 미국으로 갖고나가면 금리차이도 볼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 위기가 빨라질 수도 있음은 물론 입니다.
오늘, 미 기준금리가 인상으로 개주열이 머리가 많이 아플 것입니다.. 그리고 계속~
시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한동안 발뻗고 잠도 못자겠죠...
물론, 대출금리가 일제히 올라 빚쟁이들은 당장 이자와 원금 상환에 더 죽어나겠죠..
요런 현상이 12월 그리고 내년에도 동일한 CYCLE로 일어나며
처음에는 회초리 맞아 따갑던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오함마로 두들겨 맞는 정도로 충격이 커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못참고 쓰러지면 그대로 파산입니다.
2JOB에서 3JOB 잠도 안자고 뛰어야 됩니다.
아래 제가 예전에 썼던 글들입니다...
개인적인 주장이 아니라, 신문기사를 발췌하고
그것을 조금 보완해서 어떤일이 일어날까 약간의 분석을 가미해서 쓴 글들이니
대충 쭉 훑어보면 앞으로 일어날 상황에 대해 대충 참고가 되실 것으로 생각되어 옮겨봤습니다.
뭐 더 떠들어 봐야 잔소리고...
닥치고 부채축소, 공구리 거품덩어리는 환금만 가능하다면
하루라도 먼저 내던지고 환금하는 사람이 승자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거품덩이 근처에는 아예 얼씬해서는 안됩니다.
그런데도 개포에서는 폭리폭탄바가지 바랍잡이 사기선동질이 진행되고 있네요...
돈 없는 사람 걸려들면 死亡합니다.
한경연 "미 금리 인상시 자본유출...위기시 1200억달러 부족"
원·달러 환율은 오르고 원·엔 환율은 내려갈 전망
외환보유액 부족 대비 미·일과 통화스와프 필요
등록 : 2018-03-18 11:00
이홍석 기자(redstone@dailian.co.kr) |
▲ 미국의 금리인상 후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외환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서울 중구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외화를 검수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
미국의 금리인상 후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외환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18일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영향과 한국의 정책대응 방향' 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미국이 금년 내 금리인상과 통화환수 등
통화정책 정상화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중앙은행도 양적 완화정책을 중단하고 긴축으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주요국이 금리를 인상하며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돼 온 글로벌 저금리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고 봤다.
신흥국에 유입된 외국인 자본도 빠져나가는 추세라
향후 한국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 인상시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1994년 미국 금리인상 후 1997년 동아시아금융위기가 발생했고
2004년 미국 금리인상 후에는 2008년 신흥국 유동성 위기가 일어났다.
이에 이번 미국 금리인상 후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1997년과 2008년 두 번의 금융위기를 겪은 한국으로서는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은 통화정책반응함수·필립스곡선·IS곡선 등으로 구성된 개방경제 신케인지언 모형을 이용해
미국의 금리인상과 이에 따른 한국의 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금리 인상시 자본유출로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지만
일본의 아베노믹스로 엔화는 더 큰 폭으로 약세가 되어
원·엔 환율은 오히려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나라의 수출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한·일 간 환율변동의 차이는 기본적으로는
미·일간 신뢰와 한·미간 신뢰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대중 적자 해소를 위한 미국의 환율·통상 압력에 한국이 희생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금리 인상과 원화 약세에 따른 환차손 우려로
올해 하반기부터 자본순유출로 반전 가능성도 있어 우리 정부의 대비책을 요구했다.
한경연은 외환위기 시 외환보유액이
약 1200억 달러(약 128조2200억원) 정도 부족한 것으로 추정했으나
실제 위기가 발생한다면 부족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거주자의 자본유출과 해외한국법인의 현지금융 중 단기상환분,
환율급등 시 시장안정을 위한 한국은행의 외환시장 개입분 역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외환위기를 막으려면 한·미, 한·일 통화스와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근 대외관계를 감안할 때 지난 2008년처럼 한·미 통화스와프가 가능할지 확신하기 힘든 상황으로
한·일 통화스와프 재논의도 쉽지 않은 여건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한국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외화유동성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며
"투자활성화로 원화절상의 원인 중 하나인 불황형 경상흑자를 축소하고
한·미 신뢰회복을 통해 환율 및 통화정책의 운신의 폭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회장은 이어 과도한 금리인상이 기업부실을 심화시키고
가계부채 상환부담을 가중시켜 경기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므로
금리 추가 인상은 자본유출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자본유출입 안정화를 위해
‘자본이동관리원칙’을 활용해 거시건전성 규제도 강화해야한다”며
“미국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한다 해도
무엇보다 우리 정부가 경제정책을 안정적으로 운용해
외채차환비율 감소와 외국인주식투자자금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일리안 = 이홍석 기자]
한경硏, “미국 금리 인상으로 자본유출 예상, 제3의 금융위기 올 수도”
자본유출동향 모니터링 강화해야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영향과
올해도 주요국이 긴축 정책으로 돌아서면서 과거 신흥국 금융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고서는 외환위기 시 외환보유액이 약 1,200억 달러 정도 부족한 것으로 추정했으며,
연구를 진행한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미 경제무역관계는 사실을 바탕으로 응당 객관적으로 또 명확히 인식해야 (0) | 2018.10.01 |
---|---|
고용악화의 원인은 다문화 정책이 시초이다. (0) | 2018.09.29 |
2008년보다 더 큰 금융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0) | 2018.09.27 |
ISDS 중복소송 금지, 픽업트럭 관세철폐 시기연장…한미FTA 개정(종합) (0) | 2018.09.25 |
문 대통령, “한미동맹을 경제 영역까지 확장” (0) | 2018.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