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에 `탈서울`? 올해 서울 59만명 떠났다
서울 생활 가능한 수도권 이동 늘어…새아파트 수요도 꾸준
![606982 기사의 0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2018/09/image_readtop_2018_606982_1538106284.jpg)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7월까지 서울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한 인구는 58만675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6% 증가하며
서울 인구의 탈서울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아파트값 급등으로 주거비 부담이 높아진데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여파에
서울 생활이 가능한 수도권으로 이동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 분석 결과,
28일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 분석 결과,
지역별로는 전국에서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가 13만681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1만8036명)이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는 지난해에 비해 10.21%(12만4142명→13만6819명)나 증가했다.
이어 세종시 8.52%(2337명→2536명), 충북 4.61%(6511명→6811명),
인천 4.57%(1만7247명→1만8036명) 등의 순으로 인구 증가율이 높았다.
경기도나 인천 등 서울 주변으로 인구이동이 많은 것은 서울의 높은 아파트값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나 인천 등 서울 주변으로 인구이동이 많은 것은 서울의 높은 아파트값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8월부터 2018년 8월 현재(8월31일 기준)까지
서울 아파트값은 19%(3.3㎡당 2254만→2685만원)나 상승한 반면
, 같은 기간 경기도는 7%(3.3㎡당 1224만→1305만원), 인천시 7%(3.3㎡당 993만→1060만원) 상승에 그쳤다.
3.3㎡당 평균 매매시세는 서울이 2685만원이고
3.3㎡당 평균 매매시세는 서울이 2685만원이고
경기도는 1305만원으로 두 배 가량 차이가 난다.
경기도 아파트 두 채를 팔아야 서울 아파트 한 채를 살 수 있는 셈이다.
주택업계 관계자는 "서울 집값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덜하고
주택업계 관계자는 "서울 집값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덜하고
교통이 편리한 수도권 일대 새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라며
"서울로 연결되는 지하철 및 도로 연장 사업과 더불어 급행열차,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추진 등으로 서울 생활권이 가능한 상황에서
굳이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서울에서 거주해야 할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수도권 신규 물량 공급도 꾸준하다.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은
수도권 신규 물량 공급도 꾸준하다.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은
다음달 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675번지 일대에서 분양하는
`병점역 아이파크 캐슬`(2666세대)은 지하철 1호선 병점역 역세권 물량이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적인 은마 아파트 분양가】1980년대 물가 수준 비교! (0) | 2018.09.30 |
---|---|
계약 후 집값 올랐다며 집 주인이 계약 파기 원한다면 (0) | 2018.09.30 |
다중 채무 400만명 500조 (0) | 2018.09.27 |
"96%가 미분양"..부산 부동산에 무슨 일이 (0) | 2018.09.27 |
"집 사느라 빚더미"..월급으로는 어림없다? (0) | 2018.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