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513150004603?f=p
버스기사 등 '52시간 초과 노동자' 2만명..충원인력 5300명
임재희 입력 2019.05.13. 15:00
그동안 연장근로를 허용하는 특례업종에서 제외됐다가
노선버스처럼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적용되는 21개 업종 300인 이상 사업장 100곳 중 15곳에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한 명 이상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00인 이상 특례제외 업종 실태조사 결과
지난달 기준 해당 사업장 총 1051곳 중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있는 사업장은 154곳(14.7%)이었다.
인력충원·유연근무로 대처..45% "인건비 필요"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그동안 연장근로를 허용하는 특례업종에서 제외됐다가
노선버스처럼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적용되는 21개 업종 300인 이상 사업장 100곳 중 15곳에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한 명 이상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사업장에선 노동시간 단축에 대비해 5300명 가까이 인력을 충원하기로 한 가운데
절반 가량이 인건비 부담을 호소하면서 정부에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1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00인 이상 특례제외 업종 실태조사 결과
지난달 기준 해당 사업장 총 1051곳 중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있는 사업장은 154곳(14.7%)이었다.
초과 근무자는 2만630명으로 300인 이상 특례제외 업종 종사자 106만5172명의 1.9% 규모였다.
특례업종은 근로기준법상 휴게·근로시간 외에
연장근로(주 12시간)가 노동자 대표와 서면 합의로 허용되는 업종이다.
26개에 달했던 업종 수는 지난해 3월 법 개정으로 5개로 축소됐다.
공공기관과 300인 이상 사업장은 지난해 7월부터 주 52시간제를 시행했으나
이들 특례제외 업종은 1년 뒤인 올해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시행된다.
업종별로 보면 근무일수 감소에 따른 임금 보전을 위해 정부 지원과 요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오는 15일 파업을 예고한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이 43곳으로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가장 많았다.
교육 서비스업 22곳, 도매 및 상품중개업 14곳, 음식점 및 주점업 11곳, 방송업 10곳 순이었다.
주 52시간제 준비 방법(중복응답)으로는 인력충원과 유연근무제 도입을 선택한 사업장이 상당수였다.
초과 노동자가 있는 사업장 154곳 가운데 92곳(59.7%)은 5294명의 인원을 충원하거나 유연근무제를 도입한다.
근무형태변경이 46곳(29.9%), 기타 36곳(23.4%), 생산설비 개선 3곳(1.9%) 등이었다.
다만 5곳은 아직 별도 계획이 없는 상태였다.
주 52시간제와 관련해 가장 어려운 점(중복응답)은 단연 인력 문제다.
81곳(52.6%)은 신규채용, 33곳(21.4%)은 재직자 임금 보전 등 인건비 부담이 주요 애로사항이라고 답했다.
구인난과 관련해서 44곳(28.6%)은 적합 지원자가 없고
31곳(20.1%)은 지원자 모수 자체가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유연근무제도 '노사 합의 어려움'과 '운영 어려움'을 꼽은 사업장이 각각 37곳(24.0%)씩이었다.
근무형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도 34곳(22.1%)이 노사합의에 어려움을 호소했고 26곳(16.9%)은
새로운 근무형태 설계가 어렵다고 답했다.
근로시간 판단이 어려운 곳이 31곳(20.1%), 근로시간 확인이 어려운 곳이 30곳(19.5%) 있었다.
필요로 하는 지원사항도 인건비를 꼽은 사업장이 154곳 중 절반에 가까운 69곳(44.8%)이었다.
이어 컨설팅(39곳, 25.3%), 채용지원서비스(32곳, 20.8%),
필요한 비용(24곳, 15.6%), 기타(23곳, 14.9%) 순서였다.
그동안 망할수밖에 없던 한국경제구조에 대해 강연하다 분노한 허경영!
김영삼때부터 정권 바뀔때마다 각부수장 3만명씩 투입 ..
고로 서로 짜고 도둑질?
버스회사 대표.임원들 연봉이 5억 이상?
정부 1년예산 70%를 서로 짜고 도둑질?
2019. 5. 10.
현재 분산회계,허경영 대통령되면 모든 정부 예산은 중앙에서 집행한다. 국민 배당금.
2019. 5. 10.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 트럼프, 한국 겨냥해 "美 좋아하지 않는 나라" (0) | 2019.05.14 |
---|---|
100억 적자 버스회사 ‘부인·아들 임원’에 억대 연봉… 도넘은 서울업체 방만경영 (0) | 2019.05.13 |
매크로 이용해 '티켓 싹쓸이' 후 되팔아..경찰 '온라인 암표상' 단속 나선다 (0) | 2019.05.12 |
北 선전 매체 "南, '중재자·촉진자' 행세 말고 당사자로 나서라" (0) | 2019.05.11 |
유명무실한 핵폐기물 관리 공론화위... 탈핵만이 답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