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85797&code=11131100&cp=du
100억 적자 버스회사 ‘부인·아들 임원’에 억대 연봉… 도넘은 서울업체 방만경영
가족 앞세워 족벌경영… 준공영 이후 적자 느는데도 임원 전원 억대 연봉 8곳
2016-01-08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따라 서울시의 재정지원을 받는 버스 회사가 100억원대 적자를 내면서도
임원은 5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버스회사는 부인, 아들, 사돈 등 가족과 친인척을 임원으로 내세워
사실상 족벌경영을 하면서 모두 억대 연봉을 챙기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적자보전을 위해 연간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준공영제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이에 따라 적자보전을 위해 연간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준공영제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서울시의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시의회 김용석(더불어민주당·도봉1) 기획재정위원장은 7일
서울시의회 김용석(더불어민주당·도봉1) 기획재정위원장은 7일
“서울시의 시내버스가 준공영제 시행 이후부터
2014년까지 지원한 재정지원금이 2조3000억원 규모에 달한다”며
“서울시 6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 중 65개 회사가 운송수지 적자인데도
임원 전원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는 회사가 8개나 된다”고 밝혔다.
6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의 임원 214명 가운데 1억원 이상 연봉자는 79명,
6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의 임원 214명 가운데 1억원 이상 연봉자는 79명,
2억원 이상은 23명으로 억대 연봉자(47.6%)가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서울시 감사위원회의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내 66개 버스회사가 임원에게 지급한 2013년 급여는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03년 대비 123% 올라 평균 1억1800만원으로 집계됐다.
S운수회사의 경우 2012년 94억원, 2013년 98억원, 2014년 115억원 등
S운수회사의 경우 2012년 94억원, 2013년 98억원, 2014년 115억원 등
3년 연속 100억 가량의 운송수지 적자가 났는데
회사 대표 임원은 4억7000만∼5억5000만원 등 3년 연속 5억원 안팎의 고액연봉을 받았다.
또 다른 S사의 경우 60억원의 적자를 냈는데도
또 다른 S사의 경우 60억원의 적자를 냈는데도
가족, 친인척 4명이 대표이사와 감사, 이사를 독차지해
2014년에만 4억~5억원씩 총 18억원의 연봉을 챙겼다.
D여객과 D교통의 경우
D여객과 D교통의 경우
H씨와 또 다른 H씨가 두 회사의 대표이사(사내이사)와 회장을 겸직하면서
2014년 각각 1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아갔다.
서울시 시내버스 운영체제는 2004년 7월부터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서울시 시내버스 운영체제는 2004년 7월부터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버스 사업자의 운송비용과 운송수입금의 차액을 서울시가 지원해왔다.
하지만 준공영제 시행 이후 버스회사 적자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는 버스회사들의 표준운송단가를 정확하게 산정하고 거품을 제거해
서울시는 버스회사들의 표준운송단가를 정확하게 산정하고 거품을 제거해
경영합리화를 유도해야 하는데도 오히려 적자폭을 줄인다는 이유로
지난해 6월 서울 시내버스 요금을 1050원에서 1200원으로 인상했다.
지난해 1월 발표된 감사원의 ‘교통보조금 집행실태’에 따르면
서울시는 보조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적정이윤을 과도하게 높여서 2013년에만 201억원을 더 줬다.
이에 따라 김용석 위원장은 서울 시내버스 재정지원과 안전 운행기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따라 김용석 위원장은 서울 시내버스 재정지원과 안전 운행기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그동안 시내버스 운송사업자가 직접 선택해온 회계감사 업체를 서울시와 공동으로 선정하고,
기존에 없던 외부 회계감사 결과 보고 시한을 다음연도 3월 말까지로 명시했다.
조례안은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서울시가 연간 한도액을 권고하고,
조례안은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서울시가 연간 한도액을 권고하고,
준수 여부를 경영과 서비스 평가에 반영하도록 규정했다.
또 서울시장은 재정지원금 집행 내용, 운송수입금 관리 실태 점검 내용,
버스회사 경영정보 등을 온라인에 공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69214
한국당 "버스 52시간제에 1조3천억? 국민에게 뒷수습하라니"
"말 그대로 무능함의 악순환" 맹공
자유한국당은 14일 노선버스 총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과 관련,
"주 52시간 근무제를 우상(偶像)처럼 신봉하며,
대책 없이 밀어붙인 청와대와 여당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질타했다.
이만희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이만희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지난해 3월 근로시간 제한을 두지 않는 특례업종에서 노선버스를 제외하며
정부는 '일단 시행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면 된다'고 했지만,
결국 지난 1년 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가 파업을 목전에 앞둔 지금에 와서
요금을 인상하라며 지자체를 압박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그는 이어 "버스 요금을 올리든, 정부가 지원을 하든 부담은 결국 국민 세금으로 나가는 것이다.
그는 이어 "버스 요금을 올리든, 정부가 지원을 하든 부담은 결국 국민 세금으로 나가는 것이다.
한국교통연구원 추산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라
버스업계에 소요되는 최소 비용이 약 1조3천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며
"대책 없이 일을 저질러 놓고 국민에게 뒷수습을 하라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말 그대로 무능함의 악순환"이라며
그는 "말 그대로 무능함의 악순환"이라며
"민생의 위기가 찾아왔고 서민들은 살려달라고 아우성인데,
이제는 ‘서민들의 발’인 버스까지도 그 무능함으로 묶어놓을 태세"라고 맹공을 폈다.
그는 나아가 "특히 이번 사태 역시 이 정부의 주특기인 책임전가 레퍼토리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며
그는 나아가 "특히 이번 사태 역시 이 정부의 주특기인 책임전가 레퍼토리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며
"김수현 정책실장이 염려한 ‘버스사태’는
정권차원에서 추진해온 주52시간 근무제를 무작정 밀어 붙인 게 원인이지,
공무원들이 이상한 짓을 하고 자기 업무를 소홀했기 때문이 아니며
국토부 장관의 공백사태를 초래한 것도 투기꾼과 다름없는 후보자를 임명한
청와대의 책임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청와대를 질타했다.
강주희 기자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지 않는 ‘우리 곁의 김용균들’ 작년에도 하루 3명 산재사망 (0) | 2019.05.14 |
---|---|
[단독] 트럼프, 한국 겨냥해 "美 좋아하지 않는 나라" (0) | 2019.05.14 |
버스기사 등 '52시간 초과 노동자' 2만명..충원인력 5300명 (0) | 2019.05.13 |
매크로 이용해 '티켓 싹쓸이' 후 되팔아..경찰 '온라인 암표상' 단속 나선다 (0) | 2019.05.12 |
北 선전 매체 "南, '중재자·촉진자' 행세 말고 당사자로 나서라"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