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 “‘한미일 견고하다고? 독도 지나가봐라’ 미국에 메시지”
김종대 “주변국들 견제, 한국을 독립변수로 본 것…반도의 지정학 부활”
민일성 기자 | balnews21@gmail.com
2019.07.24 10:36:34
▲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에 대한 23일 미국 CNN의 보도.
'독도(Dokdo Island)'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CNN 화면 캡처>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러시아의 ‘영공 침범’ 사건에 대해
24일 100년 동안 강대국들의 종속변수였던 한국을 독립변수로 본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보복도 한국을 크게 봤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김 의원은 “한국이 1인당 GDP가 일본의 80%에 육박하고
김 의원은 “한국이 1인당 GDP가 일본의 80%에 육박하고
수출액수가 일본의 1/3을 넘으니까
‘한국이 이렇게 커졌어’라며 놀란 일본이 경제 전선에서 도발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번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독도 문제를 건드린 것”이라며
이어 김 의원은 “이번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독도 문제를 건드린 것”이라며
“한미일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미세 균열을 가할 수 있는 작은 도발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의원은 “우리 언론이 어리둥절한데 2016년 박근혜 정부의 사드 배치때부터 시작된 것”이라며
김 의원은 “우리 언론이 어리둥절한데 2016년 박근혜 정부의 사드 배치때부터 시작된 것”이라며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응해 중국, 러시아가 전략적 연대를 시작했다”고 되짚었다.
이에 김어준씨는 “우리는 복잡한 지정학적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김어준씨는 “우리는 복잡한 지정학적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100년동안 북한만 쳐다보며 평면, 2차원에서 살았다”며
“그런데 실제 세계는 3차원이었다”고 했다.
그는 “이제 주변국들도 우리를 독립변수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종대 의원은 “미들파워, 중견국가가 된 것”이라며
김종대 의원은 “미들파워, 중견국가가 된 것”이라며
“우리 스스로 커진 걸 우리도 의식하지 못했는데
어느새 중견국으로 가는 것”이라고 공감했다.
그는 “그러니까 주변국에서 견제가 들어온 것이고
그는 “그러니까 주변국에서 견제가 들어온 것이고
그것이 일본의 수출 보복과 러시아의 영공 침범”이라고 했다.
중국-러시아가 독도를 건드린 것에 대해 김어준씨는 “고의성이 있다”며
중국-러시아가 독도를 건드린 것에 대해 김어준씨는 “고의성이 있다”며
“한미일이 견고하다고 하는데 ‘독도 한번 지나가봐라,
한국과 일본이 어떻게 군사적 이해관계가 일치하겠나’ 라는 메시지를 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미국이 한미일 동맹이 굉장히 센 것처럼 하는데
그는 “미국이 한미일 동맹이 굉장히 센 것처럼 하는데
아닐 걸 하면서 슬쩍 찔러본 급소가 독도”라고 했다.
김씨는 “실제 오늘 새벽에 나온 미국의 반응이 어정쩡하다”며
김씨는 “실제 오늘 새벽에 나온 미국의 반응이 어정쩡하다”며
“독도에 들어왔는데 한국과 일본의 대응을 잘했다고 했다”고 딜레마에 빠진 미국 반응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중국과 러시아가 노린 것이고
그러면서 김씨는 “중국과 러시아가 노린 것이고
한국이 일본이나 미국 말을 듣는 게 아니라 자기 목소리를 따로 가졌다고
독립변수로 취급했다는 점에서 나쁜 게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러시아의 ‘영공 침범’ 사건에 대해 24일
100년 동안 강대국들의 종속변수였던 한국을 독립변수로 본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보복도 한국을 크게 봤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김 의원은 “한국이 1인당 GDP가 일본의 80%에 육박하고
김 의원은 “한국이 1인당 GDP가 일본의 80%에 육박하고
수출액수가 일본의 1/3을 넘으니까
‘한국이 이렇게 커졌어’라며 놀란 일본이 경제 전선에서 도발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번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독도 문제를 건드린 것”이라며
이어 김 의원은 “이번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독도 문제를 건드린 것”이라며
“한미일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미세 균열을 가할 수 있는 작은 도발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 <이미지 출처=JTBC 화면 캡처>
아울러 김 씨는 “이런 상황에서 제일 나쁜 주장이 한일간에 사이가 벌어지니까
중국-러시아가 치고 들어오지 않냐, 빨리 한일관계를 봉합해야 한다는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김씨는 “그러면 독도에 대해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거냐”며
김씨는 “그러면 독도에 대해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거냐”며
“우리보다 더 힘센 나라의 그늘 아래 들어가서 빨리 보호를 받으라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김씨는 “오히려 기회”라며 “만날 아직은 시기가 아니라고 하는데
김씨는 “오히려 기회”라며 “만날 아직은 시기가 아니라고 하는데
무역도 세계 10위고 군사력도 10번째 안이다”라며 자주외교를 촉구했다.
이에 김종대 의원은 “정신을 바싹 차려야 한다”며
이에 김종대 의원은 “정신을 바싹 차려야 한다”며
“강대국 정치에서 분쟁의 열점, 핫스팟으로 우리가 선택당하지 말아야 된다”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새로 부활하는 지정학은 우리에게 자강의 길을 촉구하는 준엄한 메시지”라며
김 의원은 “새로 부활하는 지정학은 우리에게 자강의 길을 촉구하는 준엄한 메시지”라며
“이제야말로 일본을 제대로 극복해
중견국가로서 국가의 품격을 세울 수 있는 시험대에 올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금 반도의 지정학이 부활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금 반도의 지정학이 부활하고 있다,
우리가 강해져야 한다”며 “밝고 힘찬 비전과 자신감으로 끌고갈 지도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오늘 오전 7시 전후로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했다가
러시아 군용기 1대가 독도 영공을 두 차례 침범해 군이 전투기를 출격시키고,
경고 사격을 하는 등 전술 조치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방.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이란 단어쓰기가 왜 그렇게 어렵나? (0) | 2019.07.25 |
---|---|
아침햇살37]경제공격을 자행하는 일본의 숨겨진 의도② (0) | 2019.07.24 |
일본을 제압하는 결정적 한 방 – 한반도 통일강국 탄생은 일본에 대재앙 (0) | 2019.07.24 |
미친개 왜구에 발끈한 시위를 근본치유의 기회로 만들자 (0) | 2019.07.23 |
연합사 해체 이후 유엔사 권한 강화 가능성... 전문가 “국방부, 유엔사 문제 너무 안이하게 생각” (0)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