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역사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의 토대” 미 상·하원 모두 공식 인정 결의안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의 토대” 미 상·하원 모두 공식 인정 결의안

          

감자탕조아

2019.08.30. 22:53

                   http://cafe.daum.net/sisa-1/dqMu/36848       





               1919년 상해 임시정부 국호 대한민국 대한제국 계승
 
 2008.08.11


대한제국(大韓帝國)은 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한반도와 간도 독도를 비롯한 인근의 도서와 해역을 통치하였던 제국이다.

대한제국의 공식적인 약칭은 대한(大韓), 한국(韓國)이다.


대한제국은 자주성과 독립성을 한층 강하게 표방하기 위해 사용된 국호이다.

대한제국의 나라 이름은 ‘대한’(大韓)인데,

이는 ‘삼한’(三韓)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삼한을 하나로 아울렀으므로 대한이라 한다.


1899년 8월 17일에 반포된 대한제국의 헌법적 법전의 명칭은 《대한국 국제》(大韓國國制)였다.

한국 또는 대한국을 대한제국이라고 표기하는 것에는, 민족적 자긍심을 감안한 측면도 있다.


외세로 인하여 나라의 자주성이 크게 위협받게 되자

자주적인 국가 수립을 염원하는 백성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져 갔다.

그래서 1897(광무 1)년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해,

그 해 8월 17일 광무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월 3일 황제 칭호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나라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10월 12일 환구단에서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이라 고치고 스스로 황제로 즉위하였다.


활빈당은 외국 상인이 시장에 나오지 못하게 할 것 등

시정개혁 13조목을 발표하면서 ‘대한’이라는 국명을 사용했다.

 항일 논설로 이름을 떨친 대한매일신보,

최초의 민족은행인 대한천일은행 등이 출현하기도 했다.

 안중근 의사는 조국 독립을 지키겠다는 혈서를 썼는데 거기에 ‘대한 독립’이라 했다.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각국은 대한제국을 직접적·간접적으로 승인하였다.

그중 제정 러시아와 프랑스는 황제가 직접 승인·축하하였으며

영국, 미국, 독일 등도 간접적으로 승인 의사를 표시하였다.


일제는 1904년 2월 대한제국 영토의 군용지 강제수용을 주 내용으로 하는 한일의정서를 강제 체결하고

1900년 고종황제 칙령 41호에 의거한 대한제국령 독도를 1905년 2월 불법 강점하였다.


미국과 1905년 7월 가쓰라태프트밀약,

영국과 8월 영일동맹,

러시아와 9월 포츠머스조약을 맺고

한국 지배에 관한 제국주의 열강의 승인을 얻은 일제는

 11월 을사오적을 매수하여 을사늑약을 강제하였다.


1909년 만주 침략을 위한 기지 마련과

남만주 이권 장악을 위해 대한제국령 간도를 청에 불법 양도하였다.


고종은 1월 21일 아침 6시에 경운궁에서 붕어하였는데,

그날 아침 한약, 식혜, 또는 커피 등을 마신 뒤

이들 음료에 들어 있던 독 때문에 사망했다는 고종 독살설은

전국적인 규모의 3·1 운동 배경이 되었다.


헤이그 밀사 사건 이후 강제로 양위를 당한 고종이

의병이나 독립 운동 세력에게 상징적 구심점이어서,

독립을 위한 무장봉기를 계획하여 조직된 독립운동단체인 신한혁명단에서

고종황제를 망명시켜서 항일운동을 활성화할 계획도 드러났고

더구나 고종황제는 고액의 내탕금으로 지원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있었다.


1919년 3·1독립만세운동 후 독립운동을 계속 확대해 나가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부수립계획이 진행되었다.

당시 상하이에는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결집되어 있었다.


1919년 4월 10일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 김신부로에서 여러 지역의 교포 1천여 명과

신한청년당에서 주축이 되어

 29인의 임시의정원 제헌의원이 모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22일엔 2차의정원 의원 57인이 참석하여

국내의 8도 대표와 러시아령, 중국령, 미국령 등 3개 지방대표가

각각 지방선거회를 통해 의정원 의원을 선출했다.

의장에는 이동녕, 부의장에는 손정도를 선출했다.


의정원은 법률안 의결, 임시대통령 선출 등 국회와 같은 기능을 했다.

의정원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민주공화제를 골간으로 한 임시헌장을 채택한 뒤 선거를 통해 국무원을 구성했다.


행정수반인 국무총리에 이승만을 추대하고

내무총장에 안창호, 외무총장에 김규식, 군무총장에 이동휘,

재무총장에 최재형, 법무총장에 이시영,

교통총장에 문창범 등 6부의 총장을 임명한 뒤 4월 13일 정부수립을 선포했다.


같은 시기에 경성에서는 한성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연해주에서도 대한국민의회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상하이 임시정부는 통합문제를 제기하였고

단일정부를 수립해야 한다는 열망이 높아 상하이 임시정부에 통합되었다.


1926년 말에 구성된 김구내각은

 1927년 제3차개헌을 통해 집단지도체제인 국무위원제로 개편했고

1940년 9월 광복군사령부를 설치하고,

 주석 김구·내무 조완구(趙琬九)·외무 조소앙(趙素昻)

·군무 조성환(曺成煥)·법무 박찬익(朴贊翊)·재무 이시영(李始榮)

·비서장 차이석(車利錫)으로 국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944년 국무위원회와 행정각부를 이중구조로 개편했다.

국무위원은 김구(주석)·김규식(부주석) 외에

 이시영·조성환·황학수·조완구·차이석·장건상·

박찬익·조소앙·성주식·김붕준·유림·김원봉·김성숙·조경한 등 14명이었고,

 국무위원회에서 선임한 행정각부는

조소앙(외무)·김원봉(군무)·조완구(재무)·신익희(내무)·최동오(법무)·

최석순(문화)·엄항섭(선전)으로 구성되었다.


1919년 상해 임시정부가 창설되면서 국호를 대한민국이라 하여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역사적 의미를 담았다.

대한민국의 정체는 민주공화제로, 주권재민의 근대국민국가를 지향하면서도

국체는 대한제국을 계승한다고 표방하였다.

/ 김민수 한민족운동단체연합 홍보국장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51020




대한제국의 계승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은 고종 황제가 창안한 대한제국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는 1919년 4월 10일 임시 정부의 첫 임시 의정원 회의에서 결정되었다.


 국호를 정하기 위해 회의를 할 때 신석우가 '대한민국'(大韓民國)으로 국호를 정하자고 하니,

여운형이 '대한'이라는 이름으로 나라가 망했는데

 또 다시 '대한'을 쓸 필요가 있느냐고 했다.


그러자 신석우는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라고 부연 설명을 하며

 대한제국에서 황제의 나라를 뜻하는 '제국'(帝國)을 공화국을 뜻하는 '민국'(民國)으로 바꾸어

대한민국을 국호로 제안하였고, 다수가 공감함에 따라 '대한민국'으로 결정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제정한 대한민국 임시 헌장 제8조와 통합임시 정부가 출범하면서

 같은 해 9월 11일 위 임시헌장을 개정한

 대한민국 임시 헌법 제7조에 공히 "대한민국은 구 황실을 우대한다" 밝히고,

제3조에 "대한민국의 영토는 구한국(=대한제국)의 판도로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대한제국을 계승함을 다시 확인하였다.


대한민국으로 승계


임시 정부가 사용한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은 해방 후 1948년 7월 소집된 제헌국회가

새 나라의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면서 그대로 채용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계기로 12월 29일 9차 개헌된 대한민국 헌법 전문

대한민국이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E%84%EC%8B%9C_%EC%A0%95%EB%B6%80




                      1943년 美의회에서 상해임정 승인결정
 
 1994.12.17.
 
  건국대 정교수, 美의회 결정문 소개


(서울=聯合) 1943년 미국 의회에서 美 행정부가 상해 임시정부를 승인하도록 결정한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건국대 정용대 교수가

미국연방문서보관소에서

당시 美 의회결정문을 발굴,

최근 열린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소개함으로써 알려졌다.


정교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 외교활동'이라는 발표논문을 통해

 43년 3월 31일자

`하원 합동결정문 109'와 같은해 4월 22일자

`상원 합동결정문 49'가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동일한 내용인 이들 결정문은 "미 합중국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하도록 합동의회에서 미 상.하원이 결정했다"고 돼 있다.


그동안 임시정부가 중국의 손문 정부, 폴란드 망명정부,

 프랑스 망명정부 등에 의해 승인됐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됐지만

 美의회의 승인결정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미국정부는 의회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외교적인 이유를 들어 상해 임정을 승인하지 않았다.


정교수는 미국이 승인을 거부한 본질적인 이유는

▲한국독립을 승인하면 한국민들이 일본에 대항, 궐기할지 모른다는 우려

▲다른 아시아국의 독립승인과 임정승인 연계

▲소련에 대한 불신 등이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832765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의 토대” 미 상·하원 모두 공식 인정 결의안


 
2019.04.11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이 한국 민주주의의 성공,

번영의 토대가 됐다는 내용을 담은 미국 의회 결의안이 상·하원 모두에서 초당적으로 발의됐다.

 미 연방의회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건국의 기초로 공식 인정하는 결의안이 추진되는 것은 처음이다.


톰 수오지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은 10일(현지시간) 같은 당 그레이스 멩,

 그레고리 믹스, 피터 킹 의원, 공화당 조 윌슨 의원과 함께 한·미동맹 결의안(H.Res.301)을 제출했다

. 결의안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현재 한국 정부로 이어졌음을 공식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제임스 랭크퍼드 공화당 상원의원도 동일한 내용의 결의안(S.Res.152)을 발의했다.


결의안에는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 지도부인 공화당 소속 코리 가드너 위원장과

 민주당 에드 마키 간사, 밥 메넨데스 민주당 의원도 공동발의자로 서명했다.


상원 결의안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는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에 따라

외교관계가 수립된 조선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11일 수립됐으며

이후 해산돼 1948년 8월15일 한국 정부로 전환됐다”고 기술했다.


이어 “100년 전 임시정부 수립을 오늘날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맥동과 성공, 번영의 토대로 인식한다”고 적시했다.

정부 관계자는 “미 의회 결의안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이 기술된 것은 처음”이라며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미 의회가 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4111309001&code=910100#csidxe105e93ed937660a856e6bfc103eb37






            임정 100주년 상징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한·중 공동기념식


2019-03-29 13:50


마지막 임정청사 리모델링도 완료…이총리 "한중, 새로운 유대 시작"


(충칭=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우리 독립운동의 핵심 근거지였던 중국 충칭(重慶)의 광복군 총사령부와

마지막 임시정부청사가 복원 및 리모델링 사업을 마치고 새롭게 선보였다.


한국과 중국 정부는 29일 오전 충칭 시내에 있는 광복군 총사령부 건물에서 복원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기념사를 통해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은 한·중 유대의 과거를 복원하는 데 머물지 않고

새로운 유대의 미래를 시작하려는 것이기도 하다"며

 "한·중 양국은 지난 수천년간 그랬듯이

앞으로도 영구히 좋은 이웃으로 지내며 서로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탕량즈(唐良智) 충칭시장은 인사말에서

 "중국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으며

광복군 창설에도 아낌없이 지원했다"며

 "충칭은 중국 인민들이 한국 인민들에 대한 우호를 담은 곳"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역사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전승하는 것은 현재의 자원과 미래의 희망을 지키는 것"이라며

 "복원된 광복군 총사령부 부지는 충칭의 소중한 역사 유산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충칭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최초 정규군으로 충칭에 총사령부를 뒀다.


중국 정부는 2015년 3월 안전상의 이유로 향후 복원을 전제로 사령부 건물을 철거했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2월 충칭을 방문했을 때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당서기와 만나 복원에 합의하면서 복원 작업이 본격화됐다.


올해가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만큼 복원 기념식에도

양국 정부 인사와 독립유공자 후손 등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독립운동가 이달 선생의 장녀인 이소심 여사,

유진동 선생의 자녀인 유수동 선생,

 김은충 선생의 손자인 정해 선생,

주경란 선생의 후손인 목월 선생 등이 참석했다.


국내에서는 이준식 독립기념관장, 박유철 광복회장,

채홍호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단장 등이 참석했다.

중국 측 주요 인사로는 탕 시장과 추궈훙(邱國洪) 주한중국대사 등이 함께했다.


앞서 마지막 임시정부청사였던 충칭 연화지의 임정청사도 지난 1일 리모델링을 마치고 재개관했다.

김구 주석 등 임시정부 요인들이 사용했던 집무실 등의 모습이 복원돼 있다.


광복군 총사령부와 마찬가지로 2017년 12월 문 대통령 방중 이후 한·중 공동으로

 임정청사 리모델링 및 전시 교체 작업이 진행됐다.        



                                            https://m.yna.co.kr/view/



                  1919년 건국’ 이승만 문서 공개…건국절 논란 끝내나


2016-10-02


이승만 자필 사인 선명…일 ‘천황’에 보낸 공식 문서


박 대통령 “건국 68주년” 8·15 경축사와도 충돌
“뉴라이트 등 건국절 제정론자들에게 뼈아픈 문서”



     1919년 6월 18일, 이승만이 일본 천황에게 보낸 대한민국 건국 통보 공식문서. 아래에 이승만의 자필 사인이 선명하다.  우당기념관 제공

1919년 6월 18일, 이승만이 일본 천황에게 보낸 대한민국 건국 통보 공식문서.

아래에 이승만의 자필 사인이 선명하다. 우당기념관 제공


“대한민국(the Republic of Korea)의 이름으로,

그리고 그 권한에 따라 나는 일본에 요구한다.


모든 무장세력과 군대,

그리고 통상적인 외교사절과 자문관들을 제외한 모든 일본 관리들과 시민 등을 한국에서 철수시켜라.

 우리는 대한민국이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주권국가(distinct, independent, sovereign State)임을 공식 인정해 주기를 바라며,

이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조약상의 약속들은 무효로 간주될 것이다.”


이는 1919년 6월18일 이승만이 대한민국 대통령(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당시 공식명칭은

 대한민주공화국 집정관총재)으로서

일본 국왕(‘천황’)에게 보낸 공식 문서 내용의 일부다.


이는 이승만을 국부로 받들면서, 그가 주도한 1948년의 분단 단독정부 수립으로

대한민국이 비로소 건국된 것이라며

1919년 건국을 부인하고 임시정부 및 동북지역 무장항일투쟁 역사를 깎아내려 온

‘이승만주의자’들과 뉴라이트의 ‘1948년 8월15일 건국절’ 주장과 정면 배치되는 것으로,

이승만주의자들에겐 자가당착이 된다.


 이 문서는 이종찬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추진위원회 회장(우당기념관 이사장, 전 국정원장)이 2일 공개했다.


이 문서에서 이승만은 자신이

 “1919년 4월23일 한국이 완전하게 조직된 자주통치국가

(completely organized, self governed State)가 됐음을

 ’당신’(you, 일본 국왕)에게 공식적으로 통보하라는 한국민의 명령을 받았다”면서

 이 모든 공식 업무들이 이에 입각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에 앞서 그해 3월1일 한국 전역의 3백 곳이 넘는 지역에서

한국민의 총의와 의지에 따라 작성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고 선포됐다는 사실,

 13도 대표들이 선출됐고

이들이 4월23일 서울에 모여 입법부

(the Korean National Council, a representative legislative body, to govern Korea)를 구성했으며

거기서 자신을 대한민국 대통령(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으로 선출하고

다른 집행(행정)부 관리들(executive officers)도 선출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승만의 자필 사인(Syngman Rhee)이 선명한 이 문서는

대한민주공화국(‘한성정부’) 수립(1919년 4월23일) 당시 미국에 체류 중이던 이승만이

자신이 대통령에 선출된 사실을 통보받고 이를 수락하면서

워싱턴 현지에 대한민국 미국 사무실을 차리고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국과 일본 등 각국 원수들에게

그 사실을 공식 통보한 문서 가운데 하나다.


이 문서를 공개한 이종찬 회장은

 “1948년 건국을 주장해온 이승만 추대세력에겐 자가당착”이라고 말했다.

집안의 전 재산을 털어 만주에 신흥무관학교 등을 세워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친 우당 이회영의 손자인 이 회장은

“지난달 28일 광복회가 주최한

 ’바른 역사 아카데미’(9월28일~12월21일 매주 수요일 열리는 역사강좌)

 제1주제(‘민족사적인 건국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제1 특강 강사로 나섰을 때에도

 그 사실을 지적한 바 있다”며

 “1948년 건국 주장자들에겐 가장 뼈아픈 문서일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분야 전문가인 한시준 단국대 교수는

 “이 문건의 존재 자체는 이미 알려져 있지만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데다

역사적 문서 원본을 대중들이 직접 접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며

 “이 문건의 공개와 대중적 공유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특히 “1948년 건국을 주장하는 이승만주의자와 뉴라이트들로선 자가당착”이라며 “

그들의 건국절 주장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 지금 우리 현실에선 더욱 의미 깊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은 지난 8월15일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광복 71주년, 건국 68주년”을 언급하며

뉴라이트와 이승만주의자들의 1948년 건국 주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발언을 한 뒤,

그달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토론회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의 건국과 그 의미를 찾아서’를 열고

 1919년 건국을 부정하고 임시정부 및 항일무장투쟁 역사를 깎아내렸다.


전희경 의원이 마련한 그날 토론회에서 김학은 연세대 명예교수와

 연세대 이승만연구소 원장을 지낸 류석춘 교수 등은

1919년 건국은 당시 외국 국적자들

(김구는 중국, 안창호는 미국, 김일성은 중국과 소련 국적자였고, 이승만은 무국적였다며)이 주도한 것이었고,

 1919년 건국 주장은 결과적으로 남북이 정통성을 나눠갖게 하는 것이며,

 “쉽게 생각하면 김일성 정권에게 절반의 정당성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희경 의원은 1919년 건국론자들을 “자신의 반대한민국적 사관을 숨기면서

 대한민국 독립세력과 건국세력을 이간질하는 사람들”

(<미디어 오늘> 8월22일치)이라며 예의 종북 색깔론을 펼치기도 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63741.html#csidx7ca32bfe4c07e62955a51d343fb63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