숱한 박물관 중에 선뜻 발을 들여놓기 어려운 곳이 대학 박물관이다. 일단 ‘대학’ ‘박물관’이란 이름에서 풍기는 학술적이고 교육적인, 뭔가 고리타분하게 느껴지는 분위기가 발걸음을 무겁게 한다. 인터넷에 상세 정보가 무수히 떠도는 여타 박물관들과 달리 소장품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고, 대체로 규모가 작다는 점도 한몫 한다. 그러나 들어가 살펴보면 말 그대로 보석같은 유물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가득 품은 대학 박물관도 있다. ‘사랑과 영혼’ 이야기의 진수를 만나러,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대학교 박물관으로 간다. “사랑, 사랑 해도 이렇게 애절하고 감동적인 얘긴 드물 겁니다. ” 안동대 박물관 조규복 학예연구사는 “이 사랑 얘기가 깃든 유물을 만나보는 것만으로도 안동대 박물관을 찾은 보람을 느끼실 것”이라고 말했다. |
“머리가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어찌…”
|
|
가득 쓰고도 모자라 위 여백까지 빽빽이…남편 호칭은 ‘자내’
|
400년전 무덤에서 발견된 한글편지
원이 아버지께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
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나와 어린 아이는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떻게
살라고 다 버리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당신 나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왔고,
나는 당신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왔었나요?
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여보,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어찌 그런 일들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 가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 해도
나는 살수 없어요.
빨리 당신에게 가고 싶어요.
나를 데려가 주세요.
당신을 향한 마음을 이승에서
잊을 수 없고, 서러운 뜻 한이 없습니다.
내 마음 어디에 두고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와서
자세히 말해 주세요.
당신 말을 자세히 듣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써서 넣어 드립니다.
자세히 보시고 나에게 말해 주세요
당신 내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것 있다 하고 그렇게 가시니,
뱃속의 자식 낳으면 누구를 아버지라
하라시는 거지요?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겠습니까?
이런 슬픈 일이 또 있겠습니까?
당신은 한갖 그 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이 서럽겠습니까?
한도 없고 끝도 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나는 꿈에는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몰래 와서 보여 주세요
하고 싶은 말, 끝이 없어 이만 적습니다.
무덤에서 같이 발견된 부인이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미투리
http://www.ezday.co.kr/bbs/view_board.html?q_id_info=739&q_sq_board=996511
이 편지는
1998년, 택지 개발이 한창이던 경북 안동시 정상동 기슭에서
주인 모를 무덤 한 기의 이장(移葬) 작업이 있었다.
시신을 보호하는 외관(外棺)은 갓 베어 놓은 듯 나뭇결이 살아 있어
혹시 최근에 조성된 무덤이 아닌가 추측 되기도 했다.
그러나 야간까지 이어진 유물 수습 과정에서
무덤은 수백 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물을 절반쯤 수습했을 무렵 망자의 가슴에 덮인 한지(韓紙)를
조심스레 벗겨서 돌려 보니 한글로 쓴 편지가 있었다.
남편의 갑작스런 죽음을 맞으며 아내가 쓴 이 편지는
수백 년 동안 망자(亡者)와 함께 어두운 무덤 속에 잠들어 있다가
이장하는 과정에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을 고스란히 전하며 심금을 울렸던 이 편지는
남편의 장례 전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 씌어진
죽은 남편에게 그 아내가
꿈속에서라도 다시 보기를 바란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아내는 지아비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으로
하고픈 말을 다 끝내지 못하고
종이가 다하자 모서리를 돌려 써내려 갔다.
모서리를 채우고도 차마 끝을 맺지 못하자
아내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거꾸로 적어 나갔다.
편지 외에도 많은 유물들이 수습되었는데
남편의 머리맡에서 나온 유물은 특히 눈길을 끌었다.
처음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조차 파악되지 않았지만 겉을 싸고 있던
한지를 찬찬히 벗겨 내자 미투리의 몸체가 드러났다.
조선시대에는 관 속에 신발을 따로 넣는 경우가 드문데다
미투리를 삼은 재료에 대한 궁금증이 더해져
이 미투리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
검사 결과 미투리의 재료는 머리카락으로 확인되었다.
왜 머리카락으로 미투리를 삼았는지
그 까닭은 신발을 싸고 있던 한지에서 밝혀졌다.
한지는 많이 훼손되어 글을 드문드문 읽을 수 있었다.
"내 머리 버혀........(머리카락을 잘라 신을 삼았다)"
그리고 끝에는 "이 신 신어 보지..........(못하고 돌아가셨다)"는
내용들이 얼핏얼핏 보였다.
편지를 쓸 당시 병석에 있던 남편이 다시 건강해져
이 미투리를 신게 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머리를 풀어 미투리를 삼았던 것이다.
아내의 헌신적인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남편이 죽자
그녀는 이 미투리를 남편과 함께 묻은 것이다.
유물 중엔 아내의 편지 외에도 2편의 시와 11통의 서신이 있었다.
이 편지들 가운데 9통은 망자의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낸 것으로,
모두 묻힌 이가 죽기 1년 전에 쓴 것들이었다.
한문 초서로 흘려 쓴 이 편지에서도 중요한 단서가 발견 되었다.
아들 응태에게 부치는 편지(子應台寄書)에서 피장자의 이름이
응태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31년 아우와 함께했다"는 형의 글에서
뭍힌 이가 서른한 살에 죽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물에서 확인한 단서를 정리하면
묻힌 이는 고성(固城) 李氏 가문의 응태라는 남자였고
그에겐 형이 있었으며 서른한 살(1586년)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편지에서 아내는 남편을 자내(자네)라고 부르기까지한다.
"자내다려 내 닐오되(당신에게 내가 말하기를)........".
"자내 몬저 가시난고(당신 먼저 가시나요).......". 등
이응태의 처는 남편을 가리켜 "자내"라는 말을 모두 14번 사용했다.
요즘 부부라 하더라도 아내가 남편을 자네라고 부르는경우는 드문데
어떻게 자내란 말을 서슴없이 할 수 있었을까?
순천 김씨의 간찰(簡札)에서 아내가 남편을
그 사람이란 의미의 3인칭으로 지칭한 예는 있어도
이 시기에 씌어진 글에서 아내가 남편을 대놓고
"자내"라고 부르는 경우는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응태 처의 편지는 임진왜란 전까지 부부가 모두
자내라는 말을 사용했음을 알려준다.
기본적으로 이런 "하소체"는 서로 대등한 관계로 보아야 한다.
이응태 아내의 편지는 그들이 살던 시대에 남녀가
대등한 관계였음을 시사하는데,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시대와는 동떨어진 모습이다.
400년 전 진실로 서로를 사랑하며 백발이 될 때까지
함께 해로하고자소망했던 이응태 부부의 육신은
비록 떨어져 있을지언정
그들의 영혼은 지난 세월 동안에도 줄곧 함께였다.
죽음조차 갈라 놓을 수 없던 이응태 부부의 사랑,
긴 어둠의 세월 속에서 이 사랑을 지켜온 것은
아내가 써서 남편의 가슴에 고이 품어 묻어둔 마지막 편지였다
'우리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실학자가 직접 보고 그린 '거북선 그림' 찾았다 (0) | 2020.01.14 |
---|---|
백사 이항복 후손이 400년간 지킨 보물들, 국가 기증 (0) | 2019.11.21 |
독도 조선영토로 표기한 김대건 신부 제작 '조선전도' (0) | 2019.09.18 |
<기고> 흥남철수는 인도주의적 구호가 아닌 협박강요된 군사작전이었다 (0) | 2019.09.15 |
지리산 삼신봉 고대금석문은 초기 천부경(天符經)일 가능성 (0) | 2019.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