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기술

삶의 기술


삶의 기술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남을 미워하지 말라


나쁜 마음은 자신에게로 되돌아온다.

마치 바람을 거슬러 티끌을 날리면 오히려

그 티끌을 자신이 뒤집어쓰는 것처럼

 

<측경>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렸다.


그래서 그는 이웃집 아들을 유심히 살펴보았다.

그의 걸음걸이를 보아도 웬지 수상한 데가 있어 보였고

얼굴이나 언행을 보아도 틀림없이 도끼를 훔쳐갔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며칠 후 골짜기에서 우연히 잃어버렸던 도끼를 찾았다.

 

그 뒤로는 이웃집 아들의 행동과 태도가

어느 모로 보나 도끼를 훔칠 그런 사람으로 보이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열자》에 나오는 설화이다.

 

우리나라의 속담에도 '물건을 훔쳐간 사람보다 잃어버린

사람이 더 죄가 많다'는 말이 있다.

 

물건을 잃어버린 사람은 많은 사람을 도둑으로 의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종종 아무런 이유나 이해 관계도 없이 남에게 좋지 않은

마음을 가질 때가 있다.

이것은 바로 극단적인 이기심의 발로에서 나온 편견이다.

자기중심적인 편견이 직장이나 나아가서 사회의 불화 요인이 됨은 말할 것도 없다.

 

나의 마음가짐, 나의 행동이 주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서

생각할 줄 모르는 것이 바로 이기주의의 모습인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만약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남을 미워하지 말라.

눈으로 모든 사물을 보면 마음에 드는 것과 들지 않는 것이 있나니,

마음에 든다고 좋아하지 말고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미워하지 말라.


 

어떤 절의 스님이 어린이들과 같이 원행을 갔다.


어린이들과 대화의 시간이 있어서 서로 이야기를 하기로 했다.

한 어린이가 스님에게 문제를 한 가지 내겠으니 스님보고 맞혀보라고 했다.

어린이는 스님에게 “5 - 3 = ?”무엇이냐고 물었다.

 

스님은 어린이가 낸 문제가 하도 쉬워 이상해서 “글쎄…‘라고 답을 말하지 않았다.

어린이는 스님에게 “그렇게 쉬운 것을 못 맞혀요?"라고 하면서 답은 ‘2’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님에게 그런데 그 의미를 아느냐고 물었다.

스님은 한참을 생각하다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어린이는 “오해한 일을 세 번만 다시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 한 문제를 내겠다고 하면서 이번에는 “2 + 2 = ?"는 무엇이냐고 했다.

이번에는 스님이 ‘4’라고 답하자, 어린이는 “맞았어요.


그런데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아세요?”라고 했다.

이번에도 스님은 한참을 생각하다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자 그 어린이는


“이해하고 이해하면 사랑이 생긴대요.”라고 말했다.

 

스님은 생각했다.

오해를 세 번만 다시 생각하면 이해가 되고,

이해를 두 번만 하면 사랑이 생긴다는 어린이의 말이

결국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닌가를 생각하면서

어린이가 말하는 세상이

결국은 우리 인간들이 꿈꾸는 세상이 아닌가라고 생각하면서

그 어린이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했다.

 

나는 이런 사랑 속에서 생겨나는 자존감의 가치를 이 책을 통해 확연히 깨달았으며

쓸데없는 만용을 부를 위험성이 있는 자존심보다는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는 자존감의 회복이

훨씬 중요한 삶의 태도가 아닌가 한다.

 

그럼 중요한 사항을 간추려 놓은 아래 내용을 읽어보고

여러분도 자신의 자존감의 회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자존감(self-esteem)과 자신감(self-confidence)은 다르다.

 

자신감이 아무리 높아도 자존감이 낮으면 감정에 기복이 생긴다. 언제나 다른 사람 자

부심을 비교하고 경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아름답다

고 믿으면 이런 일은 사라진다.

 

자존감은 결코 무심코 지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존감에 신경 쓰지 않으면

결국 우리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다.


자존감은 늘 우리 안에,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지만 치할수록 낮아진다.

 지나치게 낮아지면 자기혐오로 바뀐다.

 

☞ 낮은 자존감

 

표본 1

1. 사회생활은 물론 대인관계에서 자산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함.

2.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함.

3. 스스로 맨 꼴찌가 되고, 남들 눈에 띄는 것을 싫어함.

 

표본 2

1. 무엇이든 자신을 중심에 놓음.

2. 남들 눈에 띄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다함.

3. 남들의 주목과 인정은 끊임없이 요구하면서 남의 이야기는 전혀 듣지 않음.


☞ 낮은 자존감의 전형적인 자질은 질투

-  질투는 질투감정을 인간관계에서 자유롭게 표현한다면 어떠한 사랑도 결국에는 이룰수 없다.

 - 질투심이 자꾸 드는 사람은 그런 마음을 떨쳐버리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상대방을 항상 경계하고 믿고 의지할 수 없다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 먼저 관계를 끊는다.

 

 

◈ 높은 자존감은 왜 중요한가?


 

❶ 자존감이 높으면 삶이 더 단순해진다.


❷ 어떠한 좌절도 쉽게 헤쳐 나갈 수 있다.


❸ 실수는 빠르게 경험담으로 바뀐다.



◈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이려면?



❶ 부모자신이 바뀌어야 한다.


❷ 부모 스스로가 자존감이 높으며 자신을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❸ 부모 스스로가 좋은 역할 모델이 되어야 한다.


❹ 자신의 원칙에 따라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끊임없이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❺ 자신의 결점과 실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 높은 자존감

 

❶ 자기 자신을 좋아하고 서로 믿는 분위기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주변으로 모인다.

❷ 상대방에게 해가 되지 않는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확률이 높아진다.


❸ 다른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는 느낌도 갖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대인관계는 항상 유쾌하다.

 

◈ 자존감을 높이면 받는 수혜

 

❶ 지금 있는 그대로 나 자신이 괜찮은 사람, 훌륭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 다른 사람에게도 너그러워진다.

  - 다른 관점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여유를 갖게 된다.

  - 다른 사람도 쉽게 사랑할 수 있게 된다.

 

❷ 자신을 어떻게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 내 단점을 개선하겠다고 마음먹을 수 있다.

  -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않고 더 많은 용기를 내게 된다.

 

❸ 능동적인 선택은 내 자신에게 놀라운 변화를 가져다준다.

 - 다른 사람에게 보다 사랑스러운 사람이 된다.

 - 결정하고 판단하는 일도 훨씬 쉬어진다.

 - 삶을 더 즐겁게 살 수 있습니다.

 

 

◈ 낮은 자존감을 알려주는 경고신호

 

❶ 늘 남들의 안 좋은 점을 들춰내고 흉을 본다.

 - 다른 사람보다 더 빛나고 우월하게 보이고 싶어 하는 욕구는 거꾸로 자신이 열등하다고

   느낄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❷ 하고 싶은 일을 하기보다, 할 수 있다는 것을 남에게 증명하기 위해 일을 한다.

❸ 남을 속이고 있다고 느끼거나, 곧 탄로 날까 봐 걱정한다.

 - 남을 속이고 있다는 두려움은 바로 자존감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신호.

❹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이 없을 때만 기분이 좋다.

❺ 난 못 생겼다. 좀 더 잘 생겼으면 훨씬 행복했을 것이다.

  - 내면을 신경 쓰지 않는 한 아무리 외모가 뛰어나도 절대로 진정한 기쁨을 누릴 수 없다.

 

 

◈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필수조건

 

❶ 현재를 소중히 여겨라.

 - 현재에 누릴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마음껏 즐길수록, 내일의 도전에 맞서

    활용할 수 있는 힘은 더욱 더 강해진다.

 - 현실을 충실히 사는 것이 가장 창조적인 임무이다.

 

 

❷ 상대방의 결점 받아들이기

 -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은 지는 것이 아니다.

   진정으로 용기 있는 행동이다.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해 상대방이 용서한다고 끝나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 나 자신을 용서해야 한다.

 

 

❸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는가?

 -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아야 한다.

 

❹ 온전한 인성

 - 자기 자신에게 진실 하라.

 - 자신만이 결정할 수 있다.


 - 약속을 잘 지켜야 한다.


 - 자신이 대우받고 싶은 만큼 상대방을 대우해야 한다.








 

 

◈ 정직해야 하는 이유


 

❶ 즉각적인 생각은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좋다.


❷ 자신의 진솔한 감정은 이야기해야 한다.


❸ 세상에서 가장 정직하지 못한 행동은 자신을 부적절하고 쓸모없는 나쁜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을 철저하게 속이는 것이다.

❹ 자존감이 낮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정직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 “나는 멋지다”자신을 긍정하고 인정하기

 

❶ 자기 확신 주문을 하루에 세 번씩 외워라.

❷ 진심으로 믿게 될 때까지 확신을 반복하라.

❸ 진정으로 그것을 사실로 믿게 되었을 때, 진실이라고 느꼈을 때, 당신은 이제 새로운 사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