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기술

위기십결(圍棋十訣)로 본 바둑과 인생

 

 

 

  위기십결(圍棋十訣)로 본 바둑과 인생

 

 


  버려라. 그러면 이긴다

 

 바둑에서는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지키기 어려운 10가지 격언이 있는데

이것을 '위기십결(圍棋十訣)'이라 한다.

 

 

  '바둑 둘 때 마음에 새기고 있어야 할 10가지 교훈'

또는 '바둑을 잘 두기 위한 10가지 비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위기십결'을 지은 사람은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자

 

  당 현종의 '기대조(棋待詔: 황제의 바둑 상대역을 맡는 벼슬의 일종)'를 지냈던 바둑 고수

  왕적신(王積薪)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난 92년 여름 대만의 중국교육성 바둑편찬위원인 주명원(朱銘源) 씨가

  "위기십결은 왕적신이 만든 것이 아니라

송나라 때의 유중보(劉仲甫)의 작품"이라는 새로운 학설을 제기함에  따라

현재 위기십결의 원작자가 누구냐 하는 문제는 한·중·일 바둑사 연구가들의 숙제로 남아 있다.

 


  1. 부득탐승(不得貪勝) - 집착과 욕심 없는 정진

 

   부득탐승(不得貪勝)은 너무 이기려고만 하지 말라는 교훈이다.

  바둑은 승부를 다투는 게임이므로 바둑을 둘 때는 필승의 신념을 갖고 자신있게 두어가야 한다.

 

  필승의 신념과 이기려고 하는 마음은 언뜻 들으면 거의 똑같은 말 같지만 사실은 정반대의 것이다.

 

  필승의 신념이 있으면 과감하게 나가야 할 때 과감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기고 싶어하는 마음, 즉 "져서는 안된다"고 집착하거나

"지면 어떡하나"하는 불안감에 얽매이면

  심리적으로 위축이 되어 바둑을 활달하게 둘 수 없다.

 

   한마디로 게임에 집착하거나 과욕을 부려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한 수(手) 한 수 머물지 않는 무주(無住)의   마음과

무집착의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바둑을 둘 때 한 판의 명국이 탄생하는 것이다.

 

  필승의 신념이 있고 자신감이 있으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꼭 이겨야 한다고 조바심을 내게 되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마련이다.

 

   때문에 어깨에 힘을 빼고 집착을 여읜 상태에서 바둑에 임하라는 것이다.

  

  물론 그게 말처럼 쉬운 것만은 아니다.

  오랜 기간 인격수양을 해도 도달하기 어려운 경지임에 틀림없다.

 

   "큰 승부에 명국 없다"라는 바둑 속담이 있듯이,

수십 년 동안 바둑만 두어온 프로기사들도    상금이 크게 걸린 바둑이나

 이기고 지는 것에 따라 자신의 명예가 좌우되는 그런 바둑을 두는 경우에는

   평소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기가 일쑤다.

  

  '위기십결'의 원작자가 바둑을 잘 두기 위한 10가지 비결을 궁리하면서

 바둑의 기술적인 내용들을 제치고

  '부득탐승'이라는 마음의 자세를 제일 위에 놓은 것은

아마도 실천하기가 가장 어려운 항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부득탐승의 도리를 몸으로 체화해 무욕(無慾)의 바둑을 두는 프로기사는 단연 이창호 국수일 것이다.

  어릴 때부터 이런 도리를 몸에 익혔으니 세계 최강이 된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 입계의완(入界誼緩) - 하심과 인욕의 공부 
 

  입계의완(入界誼緩)은 경계를 넘어 들어갈 때는 천천히 행동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대국에서 포석이 끝나면 상대방 진영과 내 편 진영 사이의 경계가 윤곽을 드러내게 되는 데,

  그런 시점에서 서두르지 말라는 것이다.

 

  누구나 내 집보다는 남의 집이 커 보이는 법이고,

  내 집만 일방적으로 크게 키우는 방법이 없을까를 연구하기 마련인데,

   '입계의완'은 바로 그래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조화, 중용, 타협, 절충, 인내 등 이런 덕목들을 한데 섞어 한마디로 압축해서 표현한 문구이다.

 

   이창호 바둑의 특징으로 대변되는 '기다림'과 '하심(下心)', 인욕(忍辱)의 바둑이 바로

  이 격언의 위력을 실증하고 있다.

 

  나아가 '입계의완'이 지향하고 있는 바는 '정확한 형세 판단'의 경지라고도 할 수 있다.

 

 내가 지금 불리한지, 유리한지를 알아야 약간의 무리를 무릅쓰고라도 일전을 불사할 것인지,

  평화를 택할 것인지, 깊이 뛰어들 것인지, 가볍게 삭감만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바른 안목〔正眼〕'과 '바른 견해〔眞正見解〕'를 전제로 한 말이다.

 

  입신의 경지라고 하는 프로 9단들도 "바둑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형세 판단"이라고 말한다.

 

  형세 판단은 감각, 수읽기, 전투력 등 각자가 지닌 기량의 총체적 표현이기 때문이다.

  선의 세계에서도 깊은 수행을 쌓은 고수들이 다양한 체험과 높은 안목으로 하수들을 한 수 지도하는 경우가

  많은 데, 바둑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3. 공피고아 (攻彼顧我) - 먼저 내 발밑부터 살피자

 
  공피고아(攻彼顧我)는 상대방을 공격하고자 할 때 먼저 나 자신을 한 번 돌아보라는 말이다.

  나에게 약점은 없는지, 혹시 반격을 당할 소지는 없는지 등을 일단 잘 살펴본 후에 공격을 하라는 가르침이다.

 

  병법에 나오는 '지피지기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이란 말과 같다.

  선에서는 대상을 인식하고

, 이에 반응하기에 앞서 자신의 마음을 먼저 돌아보는 회광반조(廻光返照)를 말한다.

  

  자기 자신을 모르고서 하는 모든 일은 망상과 집착에 불가한 것이어서,

  행복보다는 불행을 자초하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대신 자신의 마음, 즉 성품을 본 견성(見性)한 사람은

  대상을 정확히 보는 안목을 갖고 사물에 대응하며, 헛된 집착으로 고통에 얽매이지 않는다.

 

  산사에 가면 신발 벗어놓는 댓돌 위에 '발밑을 살피라'는 뜻의 '조고각하(照顧脚下)' 라고 쓰인

  주련이 걸린 것을 볼 수 있다.

  

  신발을 잘 벗어 놓으라는 뜻도 되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금, 자기의 존재를 살펴보라는 의미이다.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스스로 살펴보라는 법문이다.

 

   순간순간 내가 어떻게 처신하고 있는지 돌아보면 거기에 진리가 있다는 가르침이다.

 

  바둑에서 상대방을 공격하던, 일상 속에서 어떤 새로운 일을 추진하지

 먼저 자신의 위치와 능력을 파악하고   매진한다면

실수도 줄일 수 있고 원만한 성취도 이룰 것이다.

 


  4. 기자쟁선(棄子爭先) - 망상과 집착 내려놓기

 

  기자쟁선(棄子爭先)은 돌 몇 점을 희생시키더라도 선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하수는 돌을 아끼고 상수는 돌을 버린다"는 속담도 있다.

 

  초심자일수록 자기편 돌은 하나도 죽이지 않으려고 집착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고수들은 초심자가 보기에는 대마 같은 데도 필요에 따라서는 쉽게 버리곤 한다.

 

  이 말은 사석(死石) 작전, 즉 '버림돌 작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환격이나 회돌이, 먹여 쳐 파호하기 등은 아주 초보적인 버림돌 작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참선에 비유한다면 어떠한 관념이나 집착

, 망상도 모두 내려놓으라고 하는 '방하착(放下着)'  공부를 들 수 있다.

 

  참선에서 마음을 허공처럼 비우기 위해서는 온갖 번뇌를 끊임없이 내려놓을 것을 말하는데,

  '기자쟁선'의 교훈은

생사의 해탈을 위해 번뇌와 분별심을 버릴 줄 아는 지혜와 비견되는 교훈인 셈이다.

  

  '기자쟁선'은 또 요석과 폐석을 잘 구분하라는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다.

 

   쓰임새가 없어진 돌은 덩어리가 아무리 커도 가치가 적은 것이고,

  비록 한 점이라도 상대방을 끊고 있는 돌이라든가 근거에 관계된 돌은 죽여서는 안된다.

 

 

  "버려라. 그러면 이긴다."

 

  불가(佛家)의 선문답(禪問答)을 연상케 하는 이 말은

중국의 섭위평 9단이 승부의 좌우명으로 삼고 있는 말이라고  한다.

바둑에서 선수(先手)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호선바둑에서 덤을 5집 반이나 내야 하는데도 프로기사들이 흑을 들고 싶어하는 것은

선수의 가치를   잘 말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사소취대(捨小取大) - 번뇌 버리고 부동심 유지

  

  사소취대(捨小取大)는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하는 '기자쟁선'과 일맥상통하는 말이다.

 

  그러나 이게 말처럼 그렇게 쉬운 것은 아니다.

  승부에 몰두하거나나. 집착을 하게 되면 냉정을 잃게 되고 판단이 흐려지기 일쑤기 때문이다.

 

  더구나 작은 이익은 눈앞에 보이고 큰 이익은 멀리 있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은 법이다.

  그럴 때 냉정하게 멀리 내다보고 작은 이익을 먼저 포기하기란 수행이 되지 않으면 여간 어려운 일이다.

  

  참선수행에 있어서도 눈앞에 뭐가 보이길 바란다든지 빠른 수행의 결과를 기대하기 쉬운데,

  이런 경우 확철대오는 영영 기대하기 어려운 법이다.

 

  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사소한 효과로 변화는 무시하고

생사해탈이란 일대사를 해결하기 전까지는

  묵묵히 옆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야하는 법이다.

 

 

  '사소취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원대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일에 집착하거나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을 길러야 하고

사소한 번뇌는 버릴 수 있는 용기를 배양해야 한다.

 

 
  6. 봉위수기(逢危須棄) - 텅빈 마음으로 방하착 하기


  봉위수기(逢危須棄)는 위기에 처할 경우에는 모름지기 버리라는 것이다.

 

  다시 한번 '방하착'의 도리를 강조하고 있는 교훈이다.

  집착과 미련을 버려야 할 때 버릴 줄 알면

 괴로운 마음도 텅 비워져 어느새 청정한 불심이 깃들게 마련이다.

  

  바둑에서는 곤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상책이지만,

  대국을 하다 보면 피차 곤마가 하나 둘, 혹은 그 이상 생기기 마련이다.

  곤마가 생겼을 때는 먼저 그 곤마의 생사(生死)의 확률을 잘 판단해야 한다.

 


  살아가는 길이 있다면 살려야 하지만, 도저히 살릴 가망이 없다고 판단이 된다면,

  또 살더라도 여기저기서 대가를 크게 지불해야 할 것처럼 보인다면

 미련을 두지 말고 과감히 버리는 것이   차선책은 된다.

 

  가망 없는 곤마를 질질 끌고 나가게 되면 잡히는 경우 대패하게 되고 살더라도 결국 지고 만다.

  곤마는 덩어리가 커지기 전에 일찌감치 버릴 것인지, 살릴 것인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

  

  이는 참선 도중에 치성하는 망상과 번뇌가 마음속에 떠오르는 순간, 즉각 알아차리는 법과 같다.

 

  온갖 망상은 번뇌임을 알아차리는 순간 사라지고 마니 참으로 묘한 일이다.

  무릇 욕심 없는 텅 빈 마음의 눈으로 볼 때 바르게 볼 수 있고 바른 판단도 나오는 법이다.


 

  7. 신물경속(愼勿輕速) - 속효심(速效心)은 금물

 
  신물경속(愼勿輕速)은 바둑을 경솔히 빨리 두지 말고

신중히 한 수 한 수 잘 생각하면서 두라는 말이다.

  

  감각을 훈련하는 데는 속기로 많은 판을 두어 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되지만,

  실제 대국에서는 빨리 두어서 좋을 것이 별로 없다.

  빨리 두다 보면 착각이나 실수가 자주 튀어나오기 마련이다.

 

  속기의 천재이자 독실한 불자인 서능욱 9단 같은 프로 고수도 속기의 악습을 고쳐보고자

  한때는 염주를 들고 다녔다고 할 정도로 소위 '덜컥수'는 뿌리 깊은 습관의 하나다.

  

  수행에 있어서도 경솔함은 절대 금기사항의 하나이다.

 

  진중한 마음가짐으로 고요하면서도 또렷또렷하게 늘 깨어 있는 것이 공부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깨달음을 이루겠다는 마음을 속효심(速效心)이라고 하는데,

  이는 깨달음에 대한 하나의 집착이 되어

오히려 깨달음과는 거리가 먼 잘못된 수행으로 빠지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좀 늦더라도 차근차근 길을 걸어가는 것은 바둑이나 참선이나 다를 바 없다.

 

 
  8. 동수상응(動須相應) - 흑과 백이 둘 아니다

 

 

  동수상응(動須相應)은 행마를 할 때는 모름지기 이쪽저쪽이 서로 연관되게,

  서로 호응을 하면서 국세를 내 편에 유리하게 이끌 수 있도록 그런 방향으로 운석하라는 것이다.

 

  바둑돌은 판 위에 한 번 놓여지면 그 위치는 변경될 수가 없지만,

 그 역할은 시시때때로 바뀌어 간다.

  마치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와 같기 때문이다.

 

   선에는 주관과 객관, 나와 너, 흑과 백, 사랑과 미움, 옳고 그름, 길고 짧음을 둘로 보지 않는다.

 

  이를 '불이(不二)' 법문이라 한다.

  모든 상대적인 분별의 세계를 초월해 둘도 하나도 아닌 상보관계를 말하는 선문에서는

 

  "나와 너는 천지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의미로

  "천지여아동근(天地與我同根)이요 만물여아일체(萬物與我一體)"를 말한다.

  

  바둑에서는 같은 돌끼리만 상응하라고 말하지만, 선에서는 같은 돌은 물론이요

  흑과 백의 돌이 조화를 이룰 것을 말한다.

 

  중국의 오청원 9단은 흑과 백의 조화를 추구하는 바둑을 '중화(中和)의 바둑'이라 명명했는데,

  선의 사상과 유사하다.

 
  9. 피강자보(彼强自保) - 인욕하는 자가 고수

 
  피강자보(彼强自保)는 상대가 강한 곳에서는 내 편의 돌을 잘 보살피라는 뜻이다.

 

  형세가 조금 불리하게 느껴진다고 해서 상대편 병사가 많은 곳에 마구 뛰어들어 간다거나

  내 돌에 약점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싸움을 벌인다거나 하는 것은 패국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뿐이다.

 

  불리할수록 참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꾹 참고 기다리다 보면 언젠가 기회는 찾아오는 법이다.

  바둑이 불리해진 것은 내가 실수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대도 사람인지라 실수를 한다.

  

  그러나 소위 "손님 실수 기다린다"는 것하고는 차원이 다르다.

 

  내 쪽에서 되지도 않는 수를 두면서 요행을 바라는 것이 손님 실수를 기다리는 행동이라면,

  불리한 대로 침착하게 정수로 두어가면서 기회를 보는 것이 참는 것이요, 인내하는 것이다.

 

  인생살이와 구도의 역정도 마찬가지지만 바둑에서도 대개 참는 자가 이기게 되어 있다.

  

  인욕과 끈기의 바둑으로 세계최강을 유지하고 있는 이창호 9단이 이를 웅변해 준다.

 

  더구나 이창호 9단이 평생 소원하는 것이

 "실수 없는 한 판의 바둑을 두는 것"이란 말을 상기하면

  완벽한 바둑을 위해 끝없이 정진하는 진정한 고수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10. 세고취화(勢孤取和) - 중도(中道)의 수행

 
  세고취화(勢孤取和)는 '피강자보'와 결국은 같은 말로서,

  상대편 세력 속에서 고립이 되는 경우에는 빨리 안정하는 길을 찾으라는 뜻이다.

 

  일단 살고 나서야 후일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나이 대장부가 목숨을 구걸할 수 있나.

치사하게 사느니 싸우다 죽는 것이 낫지" 하면서 무조건 싸우려고  하는 것은 만용일 따름이다.

 


『삼국지』 등을 보면 천하를 도모하는 수많은 영웅호걸들도 때가 아니다 라고 느끼거나

  형세가 불리하다고 판단이 될 때는 남의 가랑이 밑을 기고 하는 것이다.

  

  원대한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순간의 불편이나 굴욕은 참고 넘어가는 것, 그것이 진정한 용기인 것이다.

 

  수행의 과정도 이와 다르지 않아서 사람들의 모욕이나 힘든 경계를 만났을 때는 저항하기 보다는

  인연에 따르되 본성을 여여부동하게 유지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역경계를 만났을 때 참지 못하고 맞부딪치면 스스로의 고통만 커질 뿐이다.

 

  천하를 호령하는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진중하게 때를 기다리며 인욕하고 하심하는 것은

  수행자나 프로 기사나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육신을 혹사시키는 것은

중도(中道)의 수행에 어긋나는 어리석은 짓이다.

  

  마치 거문고의 줄을 느슨하지도 뻑뻑하지도 않게 적당하게 조이고

음악을 연주할 때 아름다운 곡이   나오는 것처럼,

인생이나 바둑이나 참선공부나 다를 바가 전혀 없다.

  

  인생이나 바둑, 참선을 '도(道)'라고 이름한다면 도에 어찌 별다른 길이 있겠는가.

 

 하나의 도를 통하면 만물과 인생의 이치에 통달하지 못할까 걱정할 것이 무엇있을까.

 

  승패를 초월한 한 판의 대국을 통해 마음을 주고받는 수담(手談)은

  인생의 축소판이자 도를 닦는 작은 도량이나 다름없다.

  

  너와 나, 승패를 초월한 무심의 바둑을 통해 기선일여(棋禪一如)의 경지를 체험해 보는 것은 어떨까. 
  

 

  滄 海 一 聲 笑

  滄 海 一 聲 笑

  푸른파도에 한바탕 크게 웃는다

 

  滔 滔 兩 岸 潮

  도도한 파도는 해안에 물결을 만들고

 

  浮 沈 隨 浪 記 今 朝

  물결따라 떴다 잠기며 아침을 맞네

 

  滄 天 笑 紛 紛 世 上 滔

  푸른 하늘을 보고 웃으며 어지러운 세상사 모두 잊는다

 

  誰 負 誰 剩 出 天 知 曉

  이긴자는 누구이며 진자는 누구인지 새벽 하늘은 알까

 

  江 山 笑 煙 雨 遙

  강산에 웃음으로 물안개를 맞는다

 

  濤 浪 濤 盡 紅 塵 俗 事 知 多 少

  파도와 풍랑이 다하고 인생은 늙어가니 세상사 알려고 않네

 

  淸 風 笑 竟 惹 寂 寥

  맑은 바람에 속세의 찌든 먼지를 모두 털어 버리니

 

  豪 情 還 剩 了 一 襟 晩 照

  호걸의 마음에 다시 지는 노을이 머문다

 

  蒼 生 笑 不 再 寂 寥

  만물은 웃기를 좋아하니 다시는 적막하지 않겟네

 

  豪 情 仍 在 癡 癡 笑 笑

  사나이도 그렇게 어리석고 어리석어 껄껄 웃는다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