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69463
하위 10% 노동자, 한 달에 5만 원 번다
심상정, 국세청 2013~2016년 자료 공개... "소득주도성장 살릴 정책보완 시급"
우리나라 상위 0.1% 노동자의 연봉이
지난 2013~2016년 사이 6000만 원가량 늘어난 반면
하위 10% 노동자의 연봉은 약 32만 원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오마이뉴스>가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공개한
5일 <오마이뉴스>가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공개한
2013~2016년 국세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0.1%의 평균 근로소득은 5억9937만 원에서 6억6005만 원으로
6067만 원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상위 0.2~1%에 해당하는 노동자들의 평균연봉은
또 상위 0.2~1%에 해당하는 노동자들의 평균연봉은
같은 기간 1억5795만 원에서 1억7876만 원으로 2081만 원 증가했고,
상위 1.1~10%에 속하는 노동자들의 연봉은 7864만 원으로 744만 원 늘었다.
더불어 상위 10.1~50%에 해당하는 노동자들의 연간 평균 근로소득은
더불어 상위 10.1~50%에 해당하는 노동자들의 연간 평균 근로소득은
지난 2013~2016년 동안 2630만 원에서 3056만 원으로 426만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10% 2016년 평균연봉 69만 원... 한 달에 5만7000원
하위 10% 2016년 평균연봉 69만 원... 한 달에 5만7000원
![]() | |
▲ | |
ⓒ Pixabay |
반면 하위 10%의 경우 같은 기간 37만1643원에서 69만4810원으로 32만3167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와 함께 심 의원은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13~2016년 국민들의 종합소득 자료도 공개했는데
이와 함께 심 의원은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13~2016년 국민들의 종합소득 자료도 공개했는데
상위 0.1%의 평균 연소득은 26억400만 원에서 25억8601만 원으로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예금 등으로 벌어들인 이자소득, 주식보유로 얻게 된 배당소득,
종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예금 등으로 벌어들인 이자소득, 주식보유로 얻게 된 배당소득,
부동산 임대소득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을 말한다.
이 기간 상위 0.1%의 평균종합소득은 26억400만 원, 25억1905만 원,
26억8575만 원, 25억8601만 원 등으로 조금씩 증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상위 1%까지 범위를 늘려보면
하지만 상위 1%까지 범위를 늘려보면
이에 속하는 사람들의 연소득은 2013~2016년 동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의 평균연간소득이 3년 동안 6억6546만 원에서 6억7707만 원으로 1160만 원 늘어난 것.
상위 0.1% 이자로 4800만 원 버는 동안 하위 10%는 28원 받아
또 상위 10% 사람들의 평균 종합소득은 같은 기간 동안 1억6507만 원에서 1억6679만 원으로 172만 원 증가했다.
상위 0.1% 이자로 4800만 원 버는 동안 하위 10%는 28원 받아
또 상위 10% 사람들의 평균 종합소득은 같은 기간 동안 1억6507만 원에서 1억6679만 원으로 172만 원 증가했다.
반면 하위 10%의 경우 평균적으로 연간소득이 93만 원에서 192만 원으로 99만 원 늘었다.
우리나라 최하층의 평균소득이 2013년 월 7만7500원에서 2016년에는 16만 원으로 늘었다는 얘기다.
종합소득 가운데 이자·배당소득은 2016년 자료만 공개됐는데,
종합소득 가운데 이자·배당소득은 2016년 자료만 공개됐는데,
상위 0.1%는 평균적으로 4814만 원의 이자소득을 올렸고,
하위 10%의 경우 평균 28원에 불과했다는 것이 심 의원 쪽 설명이다.
또 배당소득의 경우에도 상위 0.1%는 평균 8176만 원을 벌어들인 반면
하위 10%는 79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심 의원은 "소득양극화의 결과가 상위 1%, 나아가 0.1%의 소득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며
심 의원은 "소득양극화의 결과가 상위 1%, 나아가 0.1%의 소득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며
"상위 20% 근로소득과 하위 20%의 소득배율은 36배 이상"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소득주도성장의 취지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정책 보완이 시급하다"며
"최저임금 인상, 노동이사제 뿐만 아니라 불로소득에 대한 금융과세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조례 만들어 소액부터 시작해 보자” (0) | 2018.11.26 |
---|---|
[펌] 한국 서민층 빈곤의 원인 (0) | 2018.11.24 |
구직난에 日 취업했다가..문화 차이에 결국 '국내 U턴' (0) | 2018.11.23 |
혼자 벌어 혼자 먹고 살기도 힘들다 (0) | 2018.11.22 |
기업순익 173조 최대................................... (0) | 2018.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