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언급에 방청객들 빵 터진 ‘30년간 최저임금’ 기사
손석희 “오염된 경제뉴스 예를 들면?”…유시민, 뉴스룸도 보도한 뉴스 언급
민일성 기자 | balnews21@gmail.com
승인 2019.01.03 12:21:49수정 2019.01.03 12:43:03
▲ <사진출처=JTBC 화면캡처>
유시민 작가가 JTBC 신년 토론에서 “어떻게 한 직장에 데리고 일을 시켰는데
민일성 기자 | balnews21@gmail.com
승인 2019.01.03 12:21:49수정 2019.01.03 12:43:03
▲ <사진출처=JTBC 화면캡처>
유시민 작가가 JTBC 신년 토론에서 “어떻게 한 직장에 데리고 일을 시켰는데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줄 수 있는가”라고 말했다.
유 작가는 2일 밤 진행된 JTBC 뉴스룸 ‘2019년 한국 어디로 가나’ 신년특집 토론에서
유 작가는 2일 밤 진행된 JTBC 뉴스룸 ‘2019년 한국 어디로 가나’ 신년특집 토론에서
“최근 어떤 신문을 보니 최저임금이 너무 많이 올라서
30년을 함께 일한 직원을 눈물을 머금고 해고 했다더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유 작가는 “이 기사를 보고 제가 정말 눈물이 나더라”며 “어떻게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줄 수 있나”라고 말했다.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과의 토론에서
유 작가는 “이 기사를 보고 제가 정말 눈물이 나더라”며 “어떻게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줄 수 있나”라고 말했다.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과의 토론에서
유 작가가 특유의 억양으로 언급하자 방청객들이 웃음을 터뜨렸다.
유 작가가 말한 기사는 동아일보의 12월25일자
유 작가가 말한 기사는 동아일보의 12월25일자
<“30년 함께한 숙련기술자 내보내.. 정부 눈귀 있는지 묻고 싶어”> 제목의 기사이다.
최저임금에 가장 타격을 크게 받고 있는 곳은 영세 제조업체들이라며
최저임금에 가장 타격을 크게 받고 있는 곳은 영세 제조업체들이라며
최근 줄줄이 공장을 접거나 30~40년 함께 일한 기술자들을 내보내고 있다는 내용이다.
☞ 관련기사 : <동아>, ‘30년 숙련공 퇴사’ 최저임금 때문?.. 네티즌 반응 보니
▲ <이미지출처=동아일보 홈페이지 캡쳐>
유 작가는 “170~180만원 월급이 최고면 대한민국 어떻게 되는 것인가,
☞ 관련기사 : <동아>, ‘30년 숙련공 퇴사’ 최저임금 때문?.. 네티즌 반응 보니
▲ <이미지출처=동아일보 홈페이지 캡쳐>
유 작가는 “170~180만원 월급이 최고면 대한민국 어떻게 되는 것인가,
(1인당 GDP가) 3만달러 넘으면 뭐 하나”라며
“기업 입장에서 애로가 많겠지만 좀 품어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김용근 부회장은 “최저임금이 낮은 단계에서는 다 수용하지만
그러나 김용근 부회장은 “최저임금이 낮은 단계에서는 다 수용하지만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처럼 되는 순간에는 어렵다”며
“이름이 최저임금이지 실은 많은 부담이 됐다”고 난색을 표했다.
유 작가는 이날 토론에서 “시민들이 만나는 거의 모든 경제 뉴스들이 중립적이거나 객관적인 것이 아니고
유 작가는 이날 토론에서 “시민들이 만나는 거의 모든 경제 뉴스들이 중립적이거나 객관적인 것이 아니고
심각하게 이해관계에 오염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보도들 때문에
그러면서 “이런 보도들 때문에
만약 중위소득 이하의 소득계층에 속하는 시민들의 삶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모든 시도들,
최저임금 포함해 다 좌절된다면 지난번 정권교체는
적어도 경제정책면에서는 의미가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손석희 앵커는 “오염됐거나 왜곡됐거나 위기론이 과장돼 있다면
이에 손석희 앵커는 “오염됐거나 왜곡됐거나 위기론이 과장돼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느꼈느냐”고 예를 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유 작가는 “우선 오늘 대통령의 긴급재정명령권을 발동하라는 이런 요구는 전형적”이라며
유 작가는 “우선 오늘 대통령의 긴급재정명령권을 발동하라는 이런 요구는 전형적”이라며
“시민들의 마음속에 불안감을 증폭시키려고 하는 정치공세”라고 예시했다.
손 앵커는 토론 직전 ‘뉴스룸’에서 해당 소식을 전했다.
손 앵커는 토론 직전 ‘뉴스룸’에서 해당 소식을 전했다.
<한국당 “긴급경제명령권 발동” 촉구..여 “혼란만 초래”>란 제목의 리포트에서
자유한국당이 연일 경제비상사태를 강조하고 있고 여권은 혼란만 초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고 보도했다.
▲ <사진출처=JTBC 화면캡처>
한편 동아일보 기사에 대해 김어준씨는 3일
▲ <사진출처=JTBC 화면캡처>
한편 동아일보 기사에 대해 김어준씨는 3일
“최저임금 인상 전 기준이면 130만원을 30년간 받았다는 건데
업주 마인드나 해당기업의 산업 구조 문제이지 어떻게 최저임금 탓인가”라고 지적했다.
김씨는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김씨는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카드 수수료 문제, 건물주의 문제 임대료 문제,
대기업 프렌차이즈의 갑을 문제,
30년 동안 최저임금으로 사람을 부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사용자의 인식 문제 이런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언론이 이런 걸 얘기 안하고 최저임금 올라가니 나라 망한다고 때린다”고 비판했다.
[출처: 고발뉴스닷컴]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735
[출처: 고발뉴스닷컴]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735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치기 소년' 재벌들, 경제위기라 해놓고 128조원이나 이익내 (0) | 2019.01.10 |
---|---|
집 사느라 쪼들리는 가계..1인당 빚 4000만원 (0) | 2019.01.09 |
2019년 이건희 신년사’ 게재한 중앙일보 (0) | 2019.01.03 |
중앙일보의 ‘이헌재 인터뷰’ 어떻게 볼 것인가[신문읽기] (0) | 2019.01.03 |
삼성 경제연구소 (0) | 201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