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느라 쪼들리는 가계..1인당 빚 4000만원
구경민 기자 입력 2019.01.09. 12:00
예·적금을 깨고 빚내서 집을 사느라 가계 여유자금이 지난 3분기에도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을 보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은 11조원으로 집계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금 조달은 2분기 27조6000억원에서 3분기 25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3분기 정부의 순자금 운용은 17조9000억원으로 2분기 13조1000억원에 비해 4조8000억원이 확대됐다.
예·적금을 깨고 빚내서 집을 사느라 가계 여유자금이 지난 3분기에도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수호황이 이어지며 정부 여유자금은 1년만에 최대로 늘어 대조를 이뤘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을 보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은 11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9~2017년 3분기 평균 13조6000억원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2017년 3분기(9조7000억원) 이후 최소치를 기록한 지난해 2분기(11조원)와 동일한 수치다.
순자금 운용은
경제주체가 예금, 채권, 보험·연금 준비금, 주식 등 투자 목적으로 굴린 돈(자금운영)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돈(자금조달)을 뺀, 쉽게 말해 여윳돈을 말한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 규모 축소는
가계가 신규 주택을 사들이기 위해 여윳돈을 쓰고 대출을 늘린 결과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금 조달은 2분기 27조6000억원에서 3분기 25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자금 운용 규모는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등에 대한 자금운용이 줄면서 38조5000억원에서 36조1000억원으로 깎였다.
3분기 말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 잔액은 1762조3000억원으로 지난 2분기 말보다 25조원 늘었다.
국내 인구가 9월 말 기준 5180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1인당 빚낸 규모가 3400만원으로 50만원가량 증가한 셈이다.
이들 부문에는 가계뿐 아니라 비영리단체, 소규모 자영업자 등이 포함된다.
가계의 금융자산은 전분기보다 39조1000억원 늘어난 3770조8000억원이었다.
가계의 금융자산을 금융부채로 나눈 배율은 2.14배로 2분기(2.15)보다 소폭 하락했다.
금융회사를 제외한 기업의 3분기 순자금 조달은 7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15조4000억원에 비해 축소했다.
순자금 조달은 자금 조달이 자금 운용보다 많은 상태를 뜻한다.
기업은 자금을 공급받아 투자하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자금 운용보다 많은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은은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조정양상과 일부 공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전분기보다 순자금 조달 규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민간설비투자와 민간건설투자는 각각 32조3000억원,
55조9000억원으로 2분기 35조2000억원, 63조3000억원에 비해 모두 줄었다.
또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의 당기순손익은 2분기 9000억원 적자에서 3분기 7000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반면 정부의 여유자금은 1년만에 최대로 늘었다.
3분기 정부의 순자금 운용은 17조9000억원으로 2분기 13조1000억원에 비해 4조8000억원이 확대됐다.
국채 상환 등으로 정부의 자금조달은 2분기 24조7000억원에서 3분기 -8조4000억원으로 전환됐다.
자금운용은 2분기 37조8000억원에서 3분기 9조5000억원으로 축소됐다.
금융기관 예치금이 2분기 29조4000억원에서 3분기 2조2000억원으로 전환된 영향이다.
세수 증가에 계절적 요인이 겹쳤다.
세수 풍년이 올 3분기에도 지속되면서 1월부터 9월까지 누계 국세 수입은 233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조6000억원 증가했다.
정부가 상반기 중 재정을 조기 집행함에 따라 하반기에 정부지출 규모가 줄어들어
자금잉여가 늘어나는 경향도 영향을 줬다.
구경민 기자 kmkoo@mt.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못 살리면 문재인정권은 오래 못 갈 것이다 (0) | 2019.01.14 |
---|---|
'양치기 소년' 재벌들, 경제위기라 해놓고 128조원이나 이익내 (0) | 2019.01.10 |
유시민 언급에 방청객들 빵 터진 ‘30년간 최저임금’ 기사 (0) | 2019.01.03 |
2019년 이건희 신년사’ 게재한 중앙일보 (0) | 2019.01.03 |
중앙일보의 ‘이헌재 인터뷰’ 어떻게 볼 것인가[신문읽기] (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