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일자리 4만6000개 늘었지만..땜질식 단기처방 급급 [이슈+]
박영준 입력 2019.02.19. 18:08
문재인정부 첫해인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전년 대비 4만6000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 공기업 등
공공부문 일자리는 241만1000개로
전년보다 4만6000개(2.9%) 늘어났다.
문재인정부 첫해인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전년 대비 4만6000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분 2만9000개보다 1.5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문재인정부의 기조에 따른 것이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리는 건 단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뿐
근본적인 일자리 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서 공공부문 근속기간은 3년 미만이 31.3%로 가장 많았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공무원의 평균 근속기간은 15.2년인데 비공무원은 4년에 그쳐 생긴 결과다.
비공무원에 무기계약직까지 포함된 걸 감안하면
맞춤형 일자리와 같은 6개월짜리 기간제 일자리가 공공부문 평균 근속기간을 대폭 낮춘 셈이다.
공공부문 일자리가 단기 위주다보니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 대목이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공부문 단기 일자리는 청년들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가 아닐뿐더러
재정을 투입해 민간 활력을 일시적으로 늘리는 단기 처방에 불과하다”면서
“공공부문 일자리는 민간의 세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인 만큼
민간 일자리를 희생한 결과인 셈이다.
공공부문 서비스를 높이기 위해 일자리를 늘린다는 접근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 '육체노동 가동연한' 60세→65세 상향 ..판례 30년 만에 변경...정년 연장, 보험료 인상 등 파장 예고 (0) | 2019.02.21 |
---|---|
하위 40%의 소득 감소. 상위 20%는 두자릿수 사상최대 증가-소득분배. (0) | 2019.02.21 |
광주형 일자리 = 최저임금 일자리 (0) | 2019.02.17 |
청년 일자리가 아니라, 모두의 일자리가 위험해졌다 (0) | 2019.02.17 |
당장 쓸 돈 부족하니..국민연금 일찍 타 쓰는 사람 늘었다 (0) | 201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