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viewsnnews.com/article?q=166497
작년 4분기 소득분배 '사상최악'...부익부 빈익빈
하위 40%의 소득 감소. 상위 20%는 두자릿수 사상최대 증가
지난해 4분기 소득분배가 사상 최악으로 악화됐다.
소득하위 40%의 소득은 급감한 반면, 상위 20%의 소득은 두자릿수 급증한 결과다.
21일 통계청의 '2018년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1일 통계청의 '2018년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위 20%인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지난해 4분기에 월평균 123만8천원으로
전년동기보다 17.7%나 줄었다.
감소폭은 3분기(-7.0%)보다 대폭 확대되면서 4분기 기준으로는
감소폭은 3분기(-7.0%)보다 대폭 확대되면서 4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1분위 소득은 1분기 -8.0%, 2분기 -7.6%, 3분기 -7.0에 이어 네 분기 연속 감소했다.
특히 근로소득은 43만500원으로 36.8% 급감했으며,
특히 근로소득은 43만500원으로 36.8% 급감했으며,
사업소득도 8.6% 줄어들었다.
정부의 무상 지원으로 이전소득(58만5100원)만 11.0% 늘었으나,
정부의 무상 지원으로 이전소득(58만5100원)만 11.0% 늘었으나,
일자리 감소로 근로소득이 급감하면서 총소득은 쪼그라들었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277만3천원으로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277만3천원으로
전년동기보다 4.8% 줄어들었다.
어 역시 3분기(-0.5%)보다 대폭 확대되면서 통계집계후 최대 낙폭을 경신했다.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계의 소득은 1.8% 증가에 그쳤다.
어 역시 3분기(-0.5%)보다 대폭 확대되면서 통계집계후 최대 낙폭을 경신했다.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계의 소득은 1.8% 증가에 그쳤다.
반면에 고소득층 소득은 수직 증가했다.
상위 20%인 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32만4천원으로 10.4% 증가,
상위 20%인 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32만4천원으로 10.4% 증가,
통계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5분위 소득은 2016년 1분기부터 12분기 내리 증가했다.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4.8% 늘어,
5분위 소득은 2016년 1분기부터 12분기 내리 증가했다.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4.8% 늘어,
2012년 4분기(5.1%) 이후 최대폭 증가했다.
이처럼 부익부 빈인빅이 심화되면서
이처럼 부익부 빈인빅이 심화되면서
소득분배는 4분기 기준으로 집계가 시작된 2003년 이후 가장 악화됐다.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47배로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47배로
1년 전(4.61배)보다 0.86나 상승했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고소득층 소득 급증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4분기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60만6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늘었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고소득층 소득 급증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4분기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60만6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늘었다.
증가율은 4분기 기준으로 2012년(5.4%) 이후 가장 높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4분기 실질소득도 1.8% 증가했다.
박태견 기자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부채 폭발 직전인데 무슨 소비 기대? (0) | 2019.02.21 |
---|---|
대법원, '육체노동 가동연한' 60세→65세 상향 ..판례 30년 만에 변경...정년 연장, 보험료 인상 등 파장 예고 (0) | 2019.02.21 |
공공일자리 4만6000개 늘었지만..땜질식 단기처방 급급 [이슈+] (0) | 2019.02.19 |
광주형 일자리 = 최저임금 일자리 (0) | 2019.02.17 |
청년 일자리가 아니라, 모두의 일자리가 위험해졌다 (0) | 201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