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靑, 전경련 첫 초청. 경실련 "대선때 해체 약속했잖나"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67658

靑, 전경련 첫 초청. 경실련 "대선때 해체 약속했잖나"

文정부 출범후 처음으로 靑 만찬에 전경련 회장 초청

        
허창수(71)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지난 26일 청와대 초청으로
청와대 행사에 참석, 경실련이 문 대통령을 질타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허창수 GS 회장은 26일 저녁 청와대에서 열린 필리프 벨기에 국왕 환영 만찬에 전경련 회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허 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후 GS그룹 회장 자격으로는 정부 행사에 여러 차례 참여했지만,
 전경련 회장 자격으로 참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전경련 패싱'이 해제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27일 성명을 통해
 "이는 정부 출범이후 끊임없이 부총리, 각 부처 장관, 더불어민주당 등이 시도하였던
전경련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포석의 결과로서, 표리부동의 전형"이라며
 "촛불정신을 내세우며 대선에서 승리한 후 공정경제와 혁신성장을 이야기하지만,
 이번 공식적 만남으로 재벌개혁 의지가 전혀 없음이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경실련은 그러면서 지난 대선후보 시절
 문 대통령이 전경련 해체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경실련의 공개질의에 답변한 내용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당시 문 후보는 “우리 역사에서 반복되어 온 정경유착의 악순환을 이제 단절해야 한다.
정치권력의 모금창구 역할을 한 전경련의 행위는 반칙과 특권의 상징과도 같다.

국민적 비판여론에 따라 주요 재벌기업들이 전경련 탈퇴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경련은 더 이상 경제계를 대표할 자격과 명분이 없다"며
 "기업과 전경련이 자체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차제에 전경련은 스스로 해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경실련은 "전경련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자금 출연을 주도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주범이었다.
또한 정치적 성향을 띤 보수단체 등의 지원으로 정치에 간접적으로 개입하기도 했다"며
"일말의 순기능조차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국민 대다수가 동의하여,
 그 해체를 대선공약으로 내건 후보를 선택한 것"이라며
문 대통령에게 약속 파기에 대한 대국민사과를 촉구했다.

최병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