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507175704551?f=p
"갓 들어와 일 미숙한 외국인도 임금 똑같이 줘야" 中企 불만
서찬동,권한울,안병준
입력 2019.05.07. 17:57
인건비 비중은 절반까지 올라
연수기간 따로 없어 임금 부담
고용허가제 보완 요구 목소리
27만명 인건비 한해 9조 넘어
최저임금 올라 6000억원 늘어
◆ 외국인 근로자 꺼리는 中企 ◆
그러나 이 대표는 올 초 외국인 근로자들로부터 황당한 집단 항의를 받았다.
입사 3년 차인 고참(?) 외국인 근로자들이 이제 갓 입사한 근로자와 임금이 비슷하다며 따지고 나섰다.
3년 차 외국인 근로자의 월 임금은 230만~240만원으로 숙식비 등을 더하면 월 300만원이 넘는다.
지난해 임금은 210만원이었는데 최저임금 인상으로 20만~30만원 대폭 올렸다.
하지만 연차별 임금 차가 크지 않아 갓 입사한 외국인 근로자도 비슷한 임금을 받자
고참 외국인 근로자들 불만이 폭발한 것이다.
이 대표는 "외국인은 입사 첫해에는 언어 문제 등으로 업무 수행이 내국인의 60~70%밖에 안 된다"며
"힘든 일은 일부러 못 알아들은 척하기도 해 답답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A사는 결국 3년 차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을 더 올려줄 수밖에 없었다.
인력난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외국인 근로자 신청이 미달된 데는 경기 악화와 인건비 상승,
근로시간 단축이 맞물린 것으로 중기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A사의 경우도 지난해 어려운 상황 속에서 매출은 10%가량 늘었지만,
인건비와 원·부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오히려 순이익은 반 토막이 났다.
최근에는 3년간 성실하게 근무해오던 외국인 근로자가
갑자기 모국으로 돌아가겠다며 퇴사해 인력 공백을 겪기도 했다.
퇴사한다고 해도 문제다.
이 대표는 "퇴직금·국민연금 등 이것저것 합치니
퇴사 때 외국인 근로자가 한번에 가져가는 금액이 2200만원에 달했다"면서
"경기가 좋을 때는 몰라도 지금처럼 힘든 때는 한 명 더 고용하기가 힘들다"고 토로했다.
경기도 시화·반월공단에서 포장용 PP밴드(스트랩)를 제조하는 대은산업의 김종웅 대표는
"정부가 현장을 잘 모르기 때문에 문제가 더 커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은산업은 근로자 56명 가운데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캄보디아, 스리랑카 등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가 20명이다.
PP밴드는 원재료인 플라스틱 칩을 고온에서 녹여 만들기 때문에
기계 설비를 끄지 않고 24시간 가동하며 12시간 2교대로 일하고 있다.
제조비용 가운데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높고
인건비가 13~14%,
나머지는 전기료 등 각종 잡비용으로 들어간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은 1년 차부터 5년 차까지 연차별 임금 차이가 크지 않다"며
"최저임금 급등으로 신입과 2년 차 임금이 역전돼 2~5년 차 임금을 그만큼 다 올려줘야 했다"고 말했다.
또 최저임금이 급등하면 제품가격이 당연히 오르고,
여러 기업이 함께 제품가격을 올리면 물가가 상승해
최저임금 인상 효과가 상쇄된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임금 상승으로 근로자 삶의 질이 높아지려면 우선 기업 실적이 개선돼야 한다"며
"하지만 정부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을 최악의 생산조건으로 밀어넣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인천시 서구의 한 알루미늄 표면처리업체는 사업이 존폐 위기까지 내몰려 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2년 전 30% 선이던 인건비 비중이 44%까지 올라 사업이 급속도로 악화됐다.
회사 대표는 "직원 9명 중 6명이 외국인 근로자인데
최저임금이 1만원을 넘으면 문을 닫아야 할 것"이라며
"주변 다른 중소기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라고 했다.
회사가 힘들어 지난 7~8년간 요지부동인 제품단가를 인상해달라고 요구하자
원도급업체는 "단가를 올리면 가격경쟁력이 낮아져
해외 바이어와의 거래가 끊길 수 있다"고 딱 잘라 말했다.
업계는 뿌리 제조업의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004년부터 시행돼
올해로 15년을 맞은 고용허가제를 보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고용허가제 이전의 산업연수생제도는 연수기간을 1~2년 둬 이 기간에는 최저임금을 차등 지급한 바 있다.
문철홍 중소기업중앙회 외국인력지원실장은 "15년 된 고용허가제를 손질해
외국인 근로자 숙식비·국민연금 부담을 줄여주고
이직 요건 강화에 성실히 숙련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기간 연장 등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시화·반월 = 서찬동 기자 / 인천 = 권한울 기자 / 김포 = 안병준 기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경영 33공약 (0) | 2019.05.12 |
---|---|
[단독]청년고용장려금 바닥났다..추경도 '스톱' 내일부터 중단 (0) | 2019.05.10 |
"졸업해봐야 생계 막막" 지원 외면..UNIST 화학과 44%↓ (0) | 2019.05.07 |
"최저임금 인상에 나라 망할 것처럼 하더니"…30대 재벌 사내유보금 950조원 (0) | 2019.05.07 |
서울시민 절반 이상 월300만원 못번다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