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43세에 첫 '내 집' 꿈 이루지만 집값 38%는 대출..'빈집' 전국 최다..불 꺼진 경상도


https://news.v.daum.net/v/20190624193607970?f=p

43세에 첫 '내 집' 꿈 이루지만 집값 38%는 대출


하종훈 입력 2019.06.24. 19:36

 

국토硏 '주거실태조사 보고서'

[서울신문]

최근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43세에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고

집값의 38%를 금융기관 대출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4일 국토연구원이 최근 제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종 연구보고서’를 통해

 최근 4년 내 구매, 분양, 상속 등의 방법으로

 생애 첫 내 집을 장만하게 된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43.3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2016년 41.9세, 2017년 43세에 비해 평균 연령이 계속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조사는 지난해 6~12월 전국의 6만 1275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최근 4년 내 자기 집을 가진 사례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집 마련이 쉬웠던 과거까지 모두 포함하면

 전체 조사 대상의 내 집 장만 평균 연령은 39.4세로 나타났고,

 이 또한 2016년(38.8세), 2017년(39.1세)에 이어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소득 하위 가구(소득 10분위 중 1∼4분위)에서는

 최근 4년 내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한 가구주의 연령이 평균 56.7세로 조사됐다.


국민들의 자가 보유 방법은 기존 주택 구매(57.6%)가 가장 많았다.

 이어 신축 건물 분양·구매(20.8%)와 증여·상속(15.6%) 순이었다.


그러나 어렵게 내 집을 마련한 경우에도 재원의 상당 부분은 금융기관 대출에 의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매 당시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대출금 비율(LTV1)은 평균 37.8%로,

 2017년 조사 당시 38.2%보다 0.4% 포인트 낮지만 여전히 40%에 육박했다.


상대적으로 자산을 축적하지 못한 청년과 신혼부부의 경우

집값 기준 대출 부담이 훨씬 더 컸다.


청년 가구(가구주 연령 만 20∼34세)와

 신혼부부 가구(혼인 5년 이하·여성 배우자 연령 만 49세 이하)의 주택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LTV1)은

 각각 45.6%, 43.2%에 이르렀다.


일반 가구의 70.7%가

 “주택 대출금이나 임대료 상환이 부담 된다”고 답변했고,

 청년 가구와 신혼부부에서는

이 응답 비율이 각각 84.3%, 82.7%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관련 태그


https://news.v.daum.net/v/20190624173315859?d=y

'빈집' 전국 최다..불 꺼진 경상도

박윤선 기자


2019.06.24. 17:33        


 

지역경기 침체 직격탄에
준공후 미분양 1년새 급증
경북·경남 나란히 1·2위로
충남·경기도 2,000가구 넘어
[서울경제] #

 지난 1월 입주한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센트럴푸르지오’는 1,671가구 가운데
 아직도 전체의 20%에 달하는 약 300가구가 ‘빈집(준공 후 미분양)’으로 남아있다.

지역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올 1월 입주했지만 아직도 주인을 찾지 못한 아파트가 적지 않은 것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경주는 준공 후 미분양이 163건으로
 타 지역에 비해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올 들어 900가구 이상으로 치솟았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가장 많은 지역이 1년 사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산업의 부진으로 타격을 입은 경남·북이 1·2위에 새롭게 등극했고
지난해 1위였던 충남과 2위였던 경기도가 각각 4위와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경남·북의 준공 후 미분양이 워낙 많이 늘어 순위가 뒤바뀌었을 뿐
전국적으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증가해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으로

전국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가장 많은 지역은 3,894가구를 기록한 경북이었다.

경북은 지난해 1,627가구가 준공 후 미분양돼 전국 3위였지만

경주와 포항, 구미 등에서 골고루 준공 후 미분양이 늘며 1위에 등극했다.

 특히 경주시는 지난해 163가구에서 올해 927가구로 800가구 가까이 증가했고

 포항시도 지난해 69가구에서 718가구로 크게 늘었다.


2위를 차지한 경남은 총 3,336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546가구였던 것에 비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거제시가 지난해 912가구에서 올해 1,560가구로 600가구 정도 늘었고

창원시도 지난해 358가구에서 올해 858가구로 500가구 가량 늘었다.


순위가 떨어진 곳이라고 상황이 나은 것은 아니다.

 지난해 준공 후 미분양 전국 1위였던 충남은 2,900가구에서 2,540가구로 400가구 정도 줄어 4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아산과 서산, 논산, 당진 등에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일부 해소됐지만, 여전히 상당한 물량이 남아있다.

 지난해 2위였던 경기는 올해 4월 기준 2,613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을 기록해

 지난해 1,765가구보다 900가구 가량 늘었다.


지난해 준공 후 미분양이 제로였던 안성시에서 620가구가 소화되지 못하고,

지난해 1가구를 기록한 의정부에서도 193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이 나온 영향이 컸다.

경남북의 워낙 증가율이 큰 탓에 순위만 3위로 낮아진 것이다.


준공 후 미분양이 줄어든 지역은 충남과 더불어 광주와 대구, 대전 등 단 네 곳에 불과했다.

광주는 지난해 174가구에서 38가구로 줄었고 대구는 지난해 116가구에서 올해 77가구로 감소했다.


 대전은 지난해 183가구에서 138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이른바 ‘대·대·광’이라고 불리며 청약 열풍을 이어오고 있는 덕에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소진한 것으로 보인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해 1만 2,783가구에서 올해 1만 8,763가구로 약 6,000가구 늘었다.

 /박윤선기자 sepys@sedaily.com


관련 태그


주택 보유율이 140%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