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701210156196
대부업체서도 밀려나는 저신용자.. 불법사금융에 내몰리나
백소용
2019.07.01. 21:59
2018년 하반기 실태조사 /
대부업 대출 잔액 4년 만에 감소
/ 반기 기준 이용자 3년 연속 줄어 /
7∼10등급 비중 6개월새 1.9%P↓/
대출액도 2018년말 기준 16.21%↓ /
제도권서 돈 못빌리면 사금융행 /
최고금리 제한없어 피해 불보듯
지난해 말 대부업 대출 잔액이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저신용자의 대출액 감소가 두드러져 법정 최고금리가 인하된 뒤
이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는 ‘풍선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금융감독원이 1일 발표한 ‘2018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금융감독원이 1일 발표한 ‘2018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금전 대부업자의 대출 잔액은 17조3487억원으로
지난해 6월(17조4470억원)에 비해 983억원(0.6%) 감소했다.
줄곧 늘어나기만 하던 대출 잔액이 감소한 것은 반기 기준으로 2014년 말 이후 처음이다.
줄곧 늘어나기만 하던 대출 잔액이 감소한 것은 반기 기준으로 2014년 말 이후 처음이다.
대형 대부업자의 대출 잔액이 감소세를 이끌었고
중소형 대부업자의 대출 잔액은 소폭 상승했다.
대부 이용자 수도 2015년 말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15만4000명(6.5%) 줄어든 221만3000명이 대부업 대출을 이용했다.
특히 이용자 중 신용등급 7~10등급인 저신용자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특히 이용자 중 신용등급 7~10등급인 저신용자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나이스평가정보 기준 중신용자(4~6등급) 비중은 지난해 6월 말 25.7%에서
지난해 12월 말 27.6%로 소폭 상승한 반면
저신용자 비중은 74.3%에서 72.4%로 감소했다.
저신용자 대출액 역시 지난해 6월 말 10조3691억원에서 지난해 12월 말 8조9223억원으로
저신용자 대출액 역시 지난해 6월 말 10조3691억원에서 지난해 12월 말 8조9223억원으로
1조4468억원(16.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신용자의 대출액은 3조9926억원에서 3조8566억원으로
1360억원(3.52%)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저신용자가 제도권에서 가장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대부업체에서도 밀려나고 있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이는 저신용자가 제도권에서 가장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대부업체에서도 밀려나고 있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2월 법정 최고금리를 연 27.9%에서 24.0%로 내렸다.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 금리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19.6%로
지난해 6월 말 20.6% 대비 1.0%포인트 하락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나이스평가정보 조사에는
대부분 대형 대부업체가 참여해서 전체 대부업의 평균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진 못하는 측면이 있다”며
“대형 대부업체에서 저신용자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저신용자들이 대부업체에서 밀려나면 갈 곳은 많지 않다.
저신용자들이 대부업체에서 밀려나면 갈 곳은 많지 않다.
서민금융연구원이 지난해 진행한 대부업체 이용자 조사 결과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거절당한 사람 중
‘부모·형제자매·친구의 도움’을 받은 사람이 43.9%로 가장 많았으며,
‘저축은행·카드사 등을 통한 차입’(21.7%),
‘차입포기’(16.1%),
‘불법사금융 이용’(14.9%) 등의 순이었다.
문제는 최고금리의 제한이 없는 불법사금융에 손을 대는 경우다.
문제는 최고금리의 제한이 없는 불법사금융에 손을 대는 경우다.
한국대부금융협회는 지난해 2월 1762건의 불법사채 거래내역을 분석한 결과
연환산 평균이자율이 353%라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한 대부업 관계자는 “대부업에서 대출이 안 되면 저신용자들이 불법사금융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며
“제도권에서 대출이 안 되면 법정 최고금리의 제한이 없는 고금리로 빠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저신용자 신용공급 상황 등을 모니터링해
금융당국은 저신용자 신용공급 상황 등을 모니터링해
저신용 취약차주의 자금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는 한편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은폐된 위기, 1969년에서 2019년까지 지난 50년간의 경제 쇠퇴 (0) | 2019.07.03 |
---|---|
한국보수 트럼프처럼 「탈세계화」 「탈신자유쥬의」 수용 못하면 미래없다. 우파 포퓰리즘해야 승리한다. (0) | 2019.07.02 |
대기업들이 한국에서 도망가는데 Trickle down이 무슨소용? Trickle up 정책이 필요한 시점! -허경영- (0) | 2019.07.01 |
對日 무역적자 700조..日 보복하면 주력산업 올스톱 (0) | 2019.06.30 |
세계는 임금 인상 열풍…거꾸로 가는 한국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