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와 좋은글

목마와 숙녀 / 시 박인환 (박인희 낭송)

 

   

 

 

       목마와 숙녀 / 시 박인환 (박인희 낭송)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生涯)와
       목마(木馬)를 타고 떠난 
       숙녀(淑女)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숴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少女)는
       정원(庭園)의 초목(草木) 옆에서 자라고
       문학(文學)이 죽고...
       인생(人生)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木馬)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孤立)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作別)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작가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未來)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木馬) 소리를
       기억(記憶)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意識)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靑春)을 찾는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人生)은 외롭지도 않고
       거저 잡지(雜誌)의 표지(表紙)처럼 통속(通俗)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목마와 숙녀 ... ... 그리고 버지니아 울프.


        어느 고마운 지인님이 묻더군...
        왜 다락방에 숨어사는가 하고.

        글쎄 페시미즘의 사고를 가진 내가 당연하다고 보는데,
        그렇다고 대답은 해야하니 어떻게 하나 ... ...

        목마와 숙녀 그리고 버지니아 울프에 관한 글로서
        다락방에 숨어사는 이유를 설명코자 한다네.


        지금 귀에 들리는 곡...
        낭만이 가득한 그 시절에 밤새워 듣고 또 들은 목마와 숙녀라는 시를
        박인희씨가 낭송하는...

        그 시절 알수없는 가슴 쓸어내리는 알싸한 감성에 젖어 들은 것을
        이젠, 이 시를 쓴 박인환씨의 내적 감정까지 훔쳐오고자 한다네...

        왜냐구 ?


        버지니아 울프가 자살한 것은 1941년 이고
        박인환씨가 이 시를 발표 한것은 1955년이라네...
        이유는 이뿐이지만 어~~하는 느낌이 오지 않나 ?



        살아온 연륜만큼 다들 남다른 삶을 방식을 살아온 우리들이니
        작가의 설명과 버지니아 울프가 자살하기 전 남긴
        유서로 알싸함을 달래 보면 좋을까 한다네.


          ♣ 박인환
   
         1926. 8. 15 강원 인제~1956. 3. 20.

         서구적 감수성과 분위기를 강하게 풍기면서 어두운 현실을 서정적으로 읊은
         후기 모더니즘의 기수. 아버지 광선(光善)과 어머니 함숙형(咸淑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6·25전쟁이 일어나자 육군 소속 종군작가단에 참여하고
         피난지 부산에서 김규동·이봉래 등과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55년 대한해운공사에서 일하면서 미국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심장마비로 30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



           ♣버지니아 울프 (1882~1941)

         1882년 본명 애덜린 버지니아 스티븐, 영국 켄싱턴 출생
         1895년 어머니의 죽음. 충격으로 정신 이상을 겪음 
         1905년 <타임>지 문예부록에 기고 
         1912년 레오나드 울프와 결혼 
        

         1919년 <밤과 낮> 간행
         1923년 톨스토이의 <사랑의 편지>를 번역
         1927년 <등대로> 간행
         1937년 <세월> 간행
         1939년 리버플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 수여, 그러나 울프는 거절함
         1941년 산책중 자살.. 유작 <막간>간행


          작품 : 댈러웨이 부인,항해,올랜도,제이콥의 방,의식의 흐름 등등


          1941년 주머니에 돌을 가득 채워넣고 템즈강에 투신 자살하기까지
           수 차례의 정신질환과 자살기도를 경험한 버지니어 울프.
           동시에 버지니아는 20세기 문학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로서
           뛰어난 작품 세계를 일궈 놓은 선구적 페미니스트이기도 했다

           민족 상잔의 비극적인 소용돌이 속에서 살다 30세로 요절한
           동시대 최고의 모더니즘의 기수였든 박인환과 금세기의 천재적인
           여류 작가이면서 불행한 어린시절을 보낸 버지니아 울프가 쓴
           마지막 유서를 보며 ...

 

 

          

 


----------------------------------------------------------------------------



 

           내 상처를 이해 해준 그대에게 / 버지니아 울프
             (자살하기 직전에 쓴 편지)


           흐르는 저 강물을 바라보며 당신의 이름을 목놓아 불러 봅니다.
           레너드 울프. 제 처녀 때의 이름 버지니아 스티븐
           당신과 결혼하면서 버지니아 울프가 된 것을
           저는 한 번도 후회해 본 적이 없습니다.



            제 나이 예순, 인생의 황혼기이긴 하지만
            아직 더 많은 일을 할수 있는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할 생각입니다.


            제 자살이 성공한다면 세상 사람들은 우리 부부 사이에
            무슨 문제가 있었을 거라고 입방아를 찧을지도 모르겠어요.


            아이도 없는 터에 남편의 이해부족, 애정 결핍 등
            이런저런 얘기가 나올까 솔직히 두렵습니다.


            이 유서는 당신이 엉뚱한 구설수에
            휩싸이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쓰는 것이랍니다.


            1912년 결혼한 이래 30년 동안 제가 진정으로 사랑하였고, 
            저를 진정으로 아껴 주었던 레너드
            그 동안 차마 얘기하지 못했던 제 생애의 비밀을
            이 유서에서 당신께 말하려 합니다.


            저의 아버지 레슬리 스티븐은
            첫 번째 아내가 정신질환에 시달리다 죽자
            변호사 허버트 덕워스의 미망인 줄리아와 재혼을 합니다.


            속된 말로 홀아비와 과부의 결혼이었던거지요.
            제 어머니 줄리아는 이미 네 명의 자식이 있는 상태였고,
            아버지는 전처 소생의 딸이 하나 있었습니다.


            재혼한 두 사람 사이에서 오빠 토비와 언니 바네사, 저
            그리고 동생 애드리안이 줄줄이 태어났지요.


            그리 넓지도 않은 집에서 아홉 명 아이와 두 어른이
            아옹다옹하며 살아가게 된 것입니다.

            어머니는 봉사정신이 무척 강한 분이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 병구완하러 다니느라 정작 집에 있는 아이들은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셨지요.


            큰애가 작은애를 알아서 잘 돌보겠지 하고 낙관적으로 생각하셨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못했습니다.


            제 생애의 불행은 여섯 살 때부터 시작됩니다.
            큰 의붓오빠인 제럴드 덕워스가 어머니 없는 틈을 타
            저한테 못된 짓을 하는 것이었어요.


            자기와는 신체 구조가 다른 저를 세밀히 관찰하고 만지고.
            그 시절부터 저는 몸에 대한 혐오감과 수치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성에 관련된 것이라면 무조건 배격하는 마음도 갖게 되었지요.


            불행은 설상가상으로 몰아 닥쳤죠.
            어머니는 이웃사람을 간병하다 그만 전염이 되어
            제가 열 세 살 되던 해에 돌아가셨습니다.


            저를 잘 이해해 주던 이복언니 스텔라도 2년 뒤에 죽었는데 
            바로 그때 아버지마저 암에 걸려 몸져눕고 말았습니다.


            저와 언니 바네사가 신경질이 나날이 심해지시는
            아버지의 병간호를 맡아서 하는 것이야 뭐 그래도
            힘든 일이라 생각하지 않고 감당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춘기를 막 넘긴 작은 의붓오빠 조지 덕워스가
            저한테 갖은 못된 짓을 하는 것이었어요.


            그렇지 않아도 의지할 데 없어 심리적으로 불안했던 저는
            무방비 상태에서 그런 일을 수시로 당하고는 거의 미칠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 당시 집에 책이 없었더라면 전 어떻게 되었을까요?


            아버지의 전처처럼 죽지 않았을까요?

            아버지는 총 65권에 달하는 대영전기사전의 책임 집필자여서
            집에 책이 엄청나게 많았고,
            저는 현실의 불행에서 도피하기 위해 책에 파묻혀 지냈습니다.

            저는 당신과 결혼하기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너무나 무서워했고,
            사춘기 시절부터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당신이 청혼했을 때 저는 두 가지를 요구했습니다.
            보통 사람 같은 부부생활을 하지 않겠다는 것과
            작가의 길을 가려는 나를 위해 공무원 생활을 포기해 달라는 것.


            세상에 이런 요구를 하는 여자에게 자신의 성적 욕망을 버리고
            사회적 지위를 팽개치고 오겠다는 사람은 레너드....
            당신 이외엔 없을 거예요.


            고통스런 과거를 끊임없이 반추하며 제가 작품을 쓰는 동안
            당신은 출판사를 차려 묵묵히 제 후원자 노릇을 해 주셨지요.


            저는 지난 30년 동안 남성중심의 이 사회와 부단히 싸웠습니다.

            오로지 글로써. 유럽이 세계 대전의 회오리바람 속으로 빨려들 때
            모든 남성이 전쟁을 옹호하였고, 당신마저도 참전론자가 되었죠.

            저는 생명을 잉태해 본 적은 없지만 모성적 부드러움으로
            이 전쟁에 반대했습니다.
            지금 온 세계가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제 작가로서의 역할은 여기서 중단되어야 할 것입니다.
            추행과 폭력이 없는 세상, 성차별이 없는 세상에 대한
            꿈을 간직한체 저는 지금 저 강물을 바라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