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번돈 30% 빚 갚는데 쓴다


번돈 30% 빚 갚는데 쓴다


가계소득중 원리금상환 비율 2016년 24%까지 증가


1~2년내 더욱 늘어날 전망


향후 1~2년 이내에 부채 증가와 원금분할상환 비율 확대로 가계소득의 30%가
 원리금 상환에 사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원리금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소비와 저축도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주택대출 중 가구당 평균 연간 원금상환액이 2013년 150만원에서
2016년 528만원으로 25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익스플로러 보러가기

16일 KB금융경영연구소의 '가계 주거비용 현황 및 주요국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원금분할상환 확대정책으로
 국내 가계 전체의 연간 처분가능소득 중 연간 원리금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11년 16.3%에서
 2016년 24.0%로 5년간 47% 상승했다.
지속적인 부채 증가 및 원금분할상환 비율 추가 확대로 향후 1~2년 이내에
 이 비율이 30%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정부는 금융위기 전후로 가계부채가 급증하자 지난 2011년에 가계부채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을 타깃으로 원금분할상환 비중을 확대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감독당국이 사실상 대부분의 신규대출을 분할상환 방식으로 유도하면서
전체대출 중 분할상환 대출비중은 2011년 7.7%에서 2017년 49.8%로 높아졌다.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이 증가하면서 가계 처분가능소득의 7% 내외가
일반 소비 및 저축에서 부채상환으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2013년 주택 구입비용은 처분가능소득의 13.0%였지만
 2016년 주택 구입비용은 처분가능소득의 18.5%로 3년간 5.5%포인트 증가했다.
 원금상환액은 가구당 평균 연 150만원에서 528만원으로 251% 급증했다.

금리 하락으로 소득 대비 이자상환 부담은 2013년 대비 2016년 기준 1.7%포인트 감소했으나,
 원금상환 부담은 같은 기간 7.2%포인트 상승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원금분할상환 확대정책으로
처분가능소득 대비 주택비용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하위권에서 중상위권으로 상승했으며
, 가계 소비 및 저축이 크게 감소했다"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 다소 빠듯하게 집을 마련한 중저소득층에서
 처분가능소득 감소 효과가 좀 더 일반 소비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고소득층의 경우 고가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은
 일종의 투자자산 마련을 위한 저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 소비지출보다 저축 감소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추정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