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작년 40·50대 퇴직자 49만명 '5년 만에 최대'..."정부는 세금으로 어르신 단기 일자리 늘리기 급급"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237479



작년 40·50대 퇴직자 49만명 '5년 만에 최대'...
"정부는 세금으로 어르신 단기 일자리 늘리기 급급"


박근우 기자


2020.02.16



- '직장 휴폐업·일거리 없음·사업부진'에 퇴직한 40대 18만4천명
...50대 비자발적 퇴직자 30만2천명 '5년 만에 30만명대'

- 문재인 정부 들어 최근 2년 연속 증가세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인 40대와 5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49만명에 육박하며 5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전 연령층 가운데 10대와 40·50대에서만 늘었다.

 40·50대 퇴직자는 문재인 정부 들어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증가세다. 


특히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중에서는

직장의 휴·폐업,

일거리가 없어서

는 사업 부진으로 인해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급증했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천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4년(55만2천명)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40·50대 퇴직자는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증가세다. [사진 연합뉴스]



연도별 퇴직자는 매년 12월 조사 기준으로
당해연도에 퇴직해 12월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인 사람 수를 파악한 것이다.


통계청은 이직 사유를 총 11개 문항으로 조사한다. 


이 중

▲ 직장의 휴업·폐업

▲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4개 항목을 고른 경우를 '비자발적 퇴직'으로 속한다.


개인·가족적 이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등 6개 항목을 고른 경우는

'자발적 퇴직'으로 분류된다.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69만6천명)부터

2017년(40만6천명)까지 줄곧 감소(2014년만 제외) 추세였다.  


하지만 2018년 45만7천명,

2019년 48만9천명으로 최근 들어 2년 연속 늘었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천명 줄어들었지만

그 중 40대·50대는 3만2천명이 늘어났다.


작년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천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 넘게 늘었다.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천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연령별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사유를 보면,

작년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직장의 휴업과 폐업,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인해 급증했다




작년 직장 휴·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전년(1만8천명) 대비 7천명 넘게 늘어난 2만6천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최고치였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직장을 잃은 40대도 전년(4만9천명)보다 8천명 넘게 늘어난 5만8천명이었다.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11만7천명→13만명),
명퇴·조기퇴직·정리해고(4만6천명→5만2천명)
사유를 중심으로 비자발적 퇴직자가 급증했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일터를 떠난 경우도
전년보다 2천명 가까이 늘어난 9만8천명으로,
전체 50대 비자발적 퇴직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추경호 의원은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 데도
정부는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며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 없이
현 정책 기조가 계속되면
고용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