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237479
박근우 기자
2020.02.16
...50대 비자발적 퇴직자 30만2천명 '5년 만에 30만명대'
- 문재인 정부 들어 최근 2년 연속 증가세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인 40대와 5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49만명에 육박하며 5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전 연령층 가운데 10대와 40·50대에서만 늘었다.
40·50대 퇴직자는 문재인 정부 들어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증가세다.
특히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중에서는
직장의 휴·폐업,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으로 인해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급증했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천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4년(55만2천명)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통계청은 이직 사유를 총 11개 문항으로 조사한다.
이 중
▲ 직장의 휴업·폐업
▲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4개 항목을 고른 경우를 '비자발적 퇴직'으로 속한다.
개인·가족적 이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등 6개 항목을 고른 경우는
'자발적 퇴직'으로 분류된다.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69만6천명)부터
2017년(40만6천명)까지 줄곧 감소(2014년만 제외) 추세였다.
하지만 2018년 45만7천명,
2019년 48만9천명으로 최근 들어 2년 연속 늘었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천명 줄어들었지만
그 중 40대·50대는 3만2천명이 늘어났다.
작년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천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 넘게 늘었다.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천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연령별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사유를 보면,
작년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직장의 휴업과 폐업,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인해 급증했다
작년 직장 휴·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20대는 왜 78세 '사회주의자'에게 열광하나 (0) | 2020.02.26 |
---|---|
발표부터 한 100兆 투자 계획… 구체 방안 묻자 “찾아봐야죠” (0) | 2020.02.26 |
"2019.6월 기준 국가부채, 4414조원, GDP대비 232%"...김광수경제硏 (0) | 2020.02.26 |
[단독] SK E&S, 충남 서산에 30㎿ 규모 '태양광 발전소' 짓는다 (0) | 2020.02.26 |
지난해 조세부담률 27%…복지제도 확대·세수 풍년에 10년새 최대 (0) | 2020.02.16 |